[비즈니스포스트] 건설경기가 코로나19 팬데믹 시기보다 더욱 깊은 침체에 빠지면서 중소 건설기업의 부실 규모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5일 신용보증기금에서 받아 공개한 자료를 보면 중소 건설기업 부실 금액은 2021년 814억 원에서 2024년 1727억 원으로 3년 사이에 212%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사진)이 15일 중소 건설기업 부실금액이 최근 3년 사이에 212%나 급증했다며 정부의 종합적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민병덕 의원실> |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발생한 대출 상환 부담이 본격화된 데다 고금리와 건설 원가 상승이 장기화하면서 중소 건설업체의 재무건전성이 한계에 다다르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같은 기간 신용보증기금이 중소 건설기업의 대출을 대신 상환한 ‘대위변제액’도 2021년 790억 원에서 2024년 1685억 원으로 213%나 증가했다.
이는 중소 건설업체의 유동성 위기가 현실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 지표로 현장에서는 공사 지연과 연쇄 부도 우려가 커지고 있다.
반면 건설업 중소기업에 대한 신규보증 지원 금액은 2021년 7484억 원에서 2024년에 5664억 원으로 1820억 원(24.3%) 급감했다.
중소 건설기업 입장에서는 보증 지원이 줄고 상환 부담은 치솟는 ‘이중고’가 이어지면서 건설경기가 단순한 경기 둔화를 넘어 사실상 침체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민병덕 의원은 “신규보증은 급격히 줄고 상환부담은 치솟는 이중고가 중소 건설업계를 압박하고 있다”며 “코로나 엔데믹을 선언한 지 오래지만, 고금리 장기화와 건설 원가 폭등이 겹치면서 사실상 팬데믹보다 더한 구조적 침체기에 접어든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민 의원은 이어 “정부는 단기 유동성 지원에 그치지 말고 중소건설업 대상 특별보증 프로그램 확대, 채무상환 유예 및 이자 감면 등 한시적 금융지원, 공공부문 발주 조기집행과 하도급 거래 정상화 대책을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대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