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정치·사회  사회

[김재섭의 뒤집어보기] 국가정보원 감청 협조 요청 건수가 왜 이렇게 많이 늘었지? 늙은 기자의 반성문

김재섭 선임기자 jskim28@businesspost.co.kr 2025-08-04 10:06:04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비즈니스포스트] 지난 7월18일 오전 9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024년 하반기 통신이용자정보 및 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 등 현황 발표'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과기정통부는 104개 전기통신사업자로부터 정보·수사기관에 통신이용자정보(통신자료)와 통신사실확인자료(통화내역)를 제공하고, 통신제한조치(감청)를 협조한 현황을 반기별로 집계해 발표한다. 먼저 국회에 보고한 뒤 언론에 공표한다.
 
[김재섭의 뒤집어보기] 국가정보원 감청 협조 요청 건수가 왜 이렇게 많이 늘었지? 늙은 기자의 반성문
▲ 국가정보원 로고.

정보·수사기관의 과도한 정보·자료 요구나 통신제한조치 남용을 막기 위해서다. 이른바 국회 통제와 언론 감시를 통해 '빅 브라더' 출현을 막자는 취지에서다. 

정보·수사기관은 국가정보원, 경찰, 검찰, 국군방첩사령부 등 전기통신사업법과 통신비밀보호법에 근거해 전기통신사업자에 정보·자료 제공과 통신제한조치 협조를 요청할 수 있는 국가기관을 말한다. 

통신이용자정보는 말 그대로 이름, 주민번호, 전화번호, 주소, 사용자이름(ID) 같은 이용자 개인정보를 말한다. 정보·수사기관은 전기통신사업법에 따라 공문으로 전기통신사업자에 이런 정보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통신사실확인자료는 통화 시간, 통화 상대 전화번호, 인터넷 접속 기록, 발신 기지국 위치 정보 같은 통화내역 자료를 가리킨다. 정보·수사기관은 통신비밀보호법 기준과 절차에 따라 법원 허가를 받아 전기통신사업자에 요청할 수 있다.

통신제한조치는 음성통화 내용을 몰래 엿듣거나 우편·이메일·문자메시지 등의 내용을 몰래 엿보는 것을 말한다. 역시 통신비밀보호법에 따라 법원 허가를 받아 우체국·전기통신사업자에 협조를 요청할 수 있다. 이 절차를 어기면 불법 감청, 즉 도청이 된다.

그동안 정보통신 분야를 담당하며 반기마다 해오던 대로 7쪽 분량의 보도자료를 꼼꼼히 살피는데, 마지막 쪽 '통신제한조치 협조'에 담긴 '전화번호 수 기준으로 전년 동기 2517건에서 2741건으로 224건 증가' 문구가 눈에 띄었다.

무엇보다 국가정보원 감청 협조 요청 건이 전년 같은 기간 2516건에서 2720건으로 204건이나 증가해, 중가분의 91%를 차지했다는 게 눈길을 끌었다.

매체 특성상 크게 다룰 꺼리는 아니었지만, 그래도 언론이고 기자인 이상 정보·수사기관의 통신자료·통화내역 제공 및 감청 협조 요청 권한 오·남용을 감시하는 역할에 동참하는 차원에서 기사화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그런데 마침 다른 건 취재원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왔고, 꽤 오랜 시간 통화했다. 이후 들은 내용을 동료와 공유하며 기사를 어떻게 쓸 수 있을까 상의하는 과정에서 국정원 감청 협조 요청 증가 발표 내용을 기사화하기로 마음먹었던 것을 깜빡 잊고 말았다.

이후 열흘 쯤 지났을 무렵, 평소 취재에 도움을 주는 정보인권단체 활동가로부터 '이 건 좀 살펴봐 달라'는 문자메시지가 왔다. 문자메시지에는 과기정통부 보도자료가 첨부돼 있었고, 국정원 감청 협조 요청 건수가 추세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대목이 강조돼 있었다.

이 활동가는 2024년 1월 국정원의 대공수사권이 경찰로 이관됐음에도 국정원의 감청 협조 요청 건수는 오히려 증가했고, 윤석열 정부 이후에는 통신 수단별 감청 협조 요청 통계가 사라진 사실을 짚으며, 왜 그런지를 언론이 취재해 기사화해줬으면 좋겠다고 조심스럽게 밝혔다.

이 활동가는 이어 "별다른 상황이 아닐 수도 있다. 그러나 디지털 감시 문제를 추적하는 정보인권 활동가로써 아무래도 마음이 걸려 말씀드린다"고 덧붙였다.

이 활동가는 아울러 과기정통부를 향해, 정보·수사기관 감청 협조 요청 통계 양식을 윤석열 정부 이전으로 되돌릴 것을 촉구했다. 국회 정보위 소속 의원들을 향해서는 국정원장 상임위 출석 때나 국정감사 때 왜 유독 국정원 감청 협조 요청 건수만 증가하고 있는지 물어볼 것을 요청했다.

이 활동가는 "국정원 감청 협조 요청이 계절 상품도 아닌데, 왜 해마다 상반기 감청 협조 요청 건수가 하반기의 2배에 이르는지도 궁금하다"고도 했다. 

문자메시지를 보는 순간 아차 싶었다. 또한 현장기자로써 엄청 쪽팔렸다. '잊을 걸 잊어야지, 어떻게 그걸 깜빡 해? 너 기자 맞아?'라고 되뇌며 머리를 쥐어박았다.

기자 명함 반납할 때가 됐구나 싶기도 했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다른 언론은 이 건을 어찌 다뤘는지 찾아봤다. 아뿔싸, 수사기관의 통신이용자정보 요청 건수가 줄었다는 점을 주목한 기사만 몇 건 보였다.

그 활동가가 오죽 답답했으면 환갑 진갑 다 지난 늙은 기자한테 취재를 요청하는 문자메시지를 보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참고로, 나는 한겨레 정보통신 담당 기자로 30년 넘게 일하다 지난해 정년퇴직한 뒤 1년쯤 쉬고 지난 4월부터 비즈니스포스트 정보통신 담당 기자로 현장에 복귀했다.

고백하건대, 눈이 어두워지고, 귀는 멀어지며, 자주 방금 들은 것도 잊는다. 이에 보고 들을 때마다, 생각 날 때마다 바로 메모를 하고 있는데, 어떤 때는 방금 들었거나 본 것이 생각나지 않아 메모에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기자는 시민을 대신해 권력자나 권력기관에 불편한 질문을 던지고 기사를 통해 감시하는 직업이라고 선배와 후배들한테 배웠다. 시민들의 임명을 받고, 당연히 충성해야 할 대상도 시민이다. 기자가 어떤 이유로던 제구실을 못하거나 안하면 1차적으로 시민들이 피해를 본다.

이번에는 내가 기자로써 제구실을 못했다. 나이 핑계로 얼렁뚱땅 넘어갈 수 없다는 생각에 이렇게 반성문을 쓴다.

아울러 나 스스로에게 정신 차리라고 호통을 친다. 또 그러면 기자 명함 반납해 너 좋아하는 일 못하게 하겠다는 협박도 한다.

AI는 '더 강력한 빅 브라더' 등장 토양이 될 수 있다. 시민 편의와 권익 보호를 위해 국회는 통제, 언론은 감시 끈을 더욱 조여야 한다. 정보인권보호 활동가들에게 맡겨둘 일이 아니다.

내가 쪽팔림을 무릅쓰고 반성문을 쓰는 이유다. 김재섭 선임기자

최신기사

교보증권 "아모레퍼시픽 순항 중인 해외사업, 중국은 흑자기조 유지 중"
대신증권 "아모레퍼시픽 중국 2개 분기 연속 흑자, 하반기 실적 모멘텀 강화"
대신증권 "LG생활건강 단기 회복은 어려울 전망, 보수적인 접근 필요"
비트코인 15만5천 달러로 상승 전망, 소액 투자자 매도에도 지지선 '굳건'
'철강산업 살리자' 여야 의원 106명 'K-스틸법' 공동발의, 탈탄소 녹색철강기술 지원
DS투자 "녹십자 구조적 턴어라운드 돌입의 해, 내년 매출 2조 돌파"
삼성전자 DX부문 AI 전담 '이노X 랩' 신설, 로봇·AI 물류·피지컬AI 등 담당
K배터리 상반기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점유율 16.4%, 작년보다 5.4%p 하락
[여론조사꽃] 신천지 국힘 전당대회 선거개입, '사실일 것' 56.9%
미국 빅테크 원자력 에너지 수요 늘어, 2040년 일본 원전 발전량 추월 전망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