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SK브로드밴드는 한국, 일본, 싱가포르, 홍콩 등 아시아 7개 국가를 연결하는 국제 해저 케이블 SJC2 상용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18일 밝혔다.
SJC2는 총 길이 1만500km로 한국의 부산 등 아시아 7개국 10개 지역의 주요 디지털 허브를 잇는 국제 해저 케이블이다. 국내에서는 SK브로드밴드가 단독으로 참여했다.
▲ 18일 SK브로드밴드는 국제 해저 케이블 SJC2의 상용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사진은 국제 해저 케이블 SJC2 경로. < SK브로드밴드 > |
회사 측은 SJC2에 적용된 최신 전송 기술과 시스템이 기존 해저 케이블보다 훨씬 빠르고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고 설명했다.
초당 9테라의 데이터 처리용량은 36만 명 가입자가 동시에 UHD 화질(25Mbps)의 영상을 시청할 수 있고, 1초 만에 풀HD(4GB) 용량의 영화 281편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속도다.
SK브로드밴드는 2018년부터 SJC2 컨소시엄에 참여해 왔으며, 지난 5월 해저 케이블 구축을 완료하고 내부 테스트를 거쳐 상용 서비스를 본격 개시했다.
올해 3월부터는 한국, 미국, 일본, 대만을 연결하는 또 다른 해저 케이블인 E2A 구축 컨소시엄에도 참여하고 있다.
하민용 SK브로드밴드 AI DC사업부장은 “SJC2 해저 케이블 상용화로 AI 시대 다양한 수요에 맞춰 서비스 안정성과 비즈니스 확장성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