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IBK기업은행이 임직원 가족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 내부통제 쇄신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IBK기업은행은 대규모 부당대출 사태 뒤 수립한 쇄신 계획을 충실히 이행하면서 제도의 조기 정착과 조직문화의 실질적 변화에 힘을 싣고 있다고 10일 밝혔다.
▲ IBK기업은행이 7월부터 임직원 가족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 내부통제 쇄신 계획을 실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
기업은행은 우선 7월부터 이해관계자 관련 부당대출에 관한 내부통제를 강화하고 이해상충 행위를 예방하기 위해 부점장급 이상 임직원 가족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에 등록하기 시작했다.
등록된 정보는 대출 전결권 강화 등 내부통제 절차에 활용한다.
기업은행은 앞으로 임직원 가족이 연관된 대출은 시스템을 통해 영업점장 전결권을 자동으로 제한한다. 또 심사센터 전결 대출은 본부 여신심사부에서 심의·의결한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이번 가족 정보 등록은 전적으로 자율적으로 진행한다”며 “별도의 등록 기간을 정하지 않고 수시로 등록할 수 있도록 진행해 직원들의 지속적 참여를 이끌 계획”이라고 말했다.
기업은행은 이해상충 예방 체크 리스트도 새롭게 만들었다.
모든 대출 의사결정 과정에서 임직원 가족 및 퇴직직원 관련 대출 여부, 이해상충 해당 여부를 검검하도록 제도화했다. 또 감리부서의 테마감리를 이해관계인 관련 여신까지 확대해 사후점검 체계도 강화했다고 설명했다.
기업은행은 이밖에도 준법 제보 활성화를 위해 외부 독립 제보 채널 도입, 제보자 인사 및 평가 불이익 방지를 위한 보호절차 마련, 비위행위자 무관용 원칙 등을 내부 규정에 반영했다.
내부통제 조직도 강화한다.
7월 외부전문가가 포함된 감사자문단을 발족하고 여신 의사결정 선진화 및 내부통제 강화 조직(가칭 여신문화개선팀)을 신설한다.
금감원은 앞서 3월25일 ‘은행 이해관계자 부당거래에 관한 검사사례’를 통해 기업은행의 882억 원 규모 부당대출 적발내용을 발표했다. 기업은행은 다음날인 3월26일 내부통제 강화를 위한 쇄신게획을 발표했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쇄신안 과제가 현장에 자연스럽게 녹아들 수 있도록 소통활동을 이어갈 계획”이라며 “이번 쇄신 노력을 통해 ‘금융사고 제로화’를 실현하고 정책금융기관으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는 데 힘쓰겠다”고 말했다.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