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예실차 논란에 앞서 지난해엔 보험사들이 무·저해지보험 해지율 가정을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평가해 실적을 부풀린다는 의혹이 제기됐고 금융당국은 가정 가이드라인을 제정했다.
실제 해지율 등 회계 가정 변경에 따라 다수 보험사에서 올해 1분기 실적이 지난해와 큰 차이가 발생했다. 계리모형에 따라 실적 변동 폭이 달라질 수 있음이 드러난 셈이다.
보험업계에서는 예실차 논란이 제기된 맥락은 이해하지만, 보험사마다 상품구조와 고객 특성에 차이가 있는 만큼 적용되는 가정은 회사마다 다를 수밖에 없다고 바라본다.
한 보험업계 관계자는 “IFRS17 도입 취지 자체가 예실차라는 계정 항목을 0에 수렴하게 만들며 운영 책임을 각 회사가 지게 하는 것”이라며 “회사마다 포트폴리오 등이 달라 비슷한 상품이라 해도 같은 손해율을 적용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IFRS17이 제대로 시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보험사와 금융당국 모두 힘써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노건엽 보험연구원 연구원은 “계리적 가정관리를 위해 보험회사는 계리 전문 인력 보강 및 양성을 통해 역량을 높이하면서 가정관리 프로세스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며 “금융당국이 보험업계 전문가들이 스스로 실무표준을 작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고 짚었다.
특히 예실차 관리가 자본적정성 평가에도 영향을 미치는 만큼 제도적 정합성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금융당국도 이를 인지하고 있으며 감독 기준 보완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
이세훈 금융감독원 수석 부위원장은 15일 브리핑에서 “일부 회사가 단기성과를 위해 장기적 안정성 훼손을 감수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필요한 보완조치가 준비되면 조만간 안내하겠다”고 밝혔다. 김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