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미시간주 디트로이트 인근 디어본에 위치한 포드의 생산공장 '루즈'에서 노동자들이 전기 픽업트럭 F-150 라이트닝 조립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포드> |
[비즈니스포스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 자동차에 '관세 중복 부과'를 막는 조치를 시행할 것이라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다음 달 시행 예정인 자동차 부품 관세를 완화할 수 있다는 내용도 전해졌다.
월스트리트저널은 28일(현지시각) 상황을 잘 아는 관계자 발언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미시간주 디트로이트 방문 전에 자동차 관세 완화 조치를 내놓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100일을 기념해 현지시각으로 29일 디트로이트에 방문하기로 예정돼 있다.
트럼프 정부가 관세 중복 부과를 막기 위해 조정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미국 당국은 자동차 소재인 철강과 알루미늄에도 관세를 책정해 완성차 기업에 부담이었는데 이를 방지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해당 조치가 이미 납부한 관세에 소급 적용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왔다.
미국 당국이 자동차를 생산할 때 사용하는 수입 부품에 일부 관세를 낮출 수 있다는 내용도 거론됐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자동차 제조업체가 부품 공급망을 미국으로 이전할 시간을 벌게 됐다”라며 “단기적으로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트럼프 정부는 4월2일부터 모든 외국산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부품 관세 부과일은 5월3일로 잡혀있다.
자동차 업체가 보상 차원에서 일부 관세를 환급받을 수 있다는 발언도 언급됐다.
트럼프 정부는 차량 가격의 최대 3.75%에 해당하는 관세를 1년 동안 환급해 준 뒤 2년차에는 2.5% 이후 단계적으로 낮출 방침으로 알려졌다.
다만 월스트리트저널은 관세 환급을 위한 재원 출처가 어디인지 불명확하다고 덧붙였다. 이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