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서울시가 새집 증후군을 줄이기 위해 공기질 점검 방식을 강화한다.
서울시는 자치구와 4월부터 올해 말까지 100세대 이상 신축 공동주택(아파트·연립주택·기숙사)과 다중이용시설에서 실내 오염도 검사를 실시한다고 10일 밝혔다.
▲ 신축 공동주택 실내공기질 측정 현장. <서울시> |
서울 시내 신축 단지 62개와 다중이용시설 148개가 점검 대상이다.
서울시와 자치구는 그동안 실내공기질 관리법을 적용받는 100세대 이상 신축 공동주택 실내 오염도가 기준치를 넘으면 시공자에게 베이크아웃(Bake-Out) 등 개선조치를 권고하고 뒤에 결과를 보고받는 방식으로 공기질을 관리했다.
베이크아웃은 실내 온도를 높여 건축자재나 마감재에서 유해물질을 배출시킨 뒤 환기하는 방법이다.
올해부터는 시공자에게 개선조치를 권고한 뒤 서울시가 직접 재검사해 공기질 개선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바뀐다.
재검사 결과도 서울시와 자치구 누리집에 즉시 공개된다.
서울시는 이밖에 청소년이 주로 이용하는 학원(41개)과 도서관(12개), PC방(95개)에서도 선제적 오염도 검사를 실시한다.
권민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빈틈없는 실내 공기질 관리를 통해 서울시민의 건강을 지키겠다”고 말했다. 김주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