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정치·사회  정치

[계엄 쇼크, 그 후] 외신 "한국 군사적 통제권 의문, 핵무장 신뢰 불투명"

김용원 기자 one@businesspost.co.kr 2024-12-04 14:03:29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계엄 쇼크, 그 후] 외신 "한국 군사적 통제권 의문, 핵무장 신뢰 불투명"
▲ 한국 비상계엄 사태가 트럼프 정부 출범 뒤 미국과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
[비즈니스포스트]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및 해제로 한국의 군사적 통제권에 의문이 커지고 있다는 외신 분석이 나왔다.

한국에서 자체 핵무장을 주장하는 여론이 힘을 얻었으나 이번 사태를 통해 핵무기 보유국으로 신뢰를 얻을 수 있을지 판단하기 어려워졌다는 관측도 이어졌다.

블룸버그는 4일 “한국이 약 40년 전에 완전히 민주화된 이후 처음으로 선포된 비상계엄 사태가 큰 혼란을 불러왔다”고 보도했다.

비상계엄이 선포된 지 몇 시간 만에 국회 결의를 거쳐 해제됐지만 한국의 정치적 위기와 글로벌 정치 환경에 미칠 여파 등이 중요해진 것으로 분석됐다.

블룸버그는 윤 대통령의 계엄령이 큰 역풍을 불러오는 데 그친 도박에 불과하다고 평가했다.

미국이 사전에 이를 파악하지 못한데다 여당마저 반발하는 의견을 내놓았고 노동자들은 파업을 예고한 한편 야당을 중심으로 탄핵이 추진되고 있기 때문이다.

블룸버그는 윤 대통령이 권력에 계속 집착한다면 내년 1월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정부가 출범하기 전 미국과 관계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협상력이 약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자는 한국이 미군 주둔 방위비를 지금보다 훨씬 많이 부담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취임 뒤 본격적으로 협상이 추진될 수 있다.

블룸버그는 한국에서 미국과 군사 동맹 약화에 대비해 자체 핵무장을 추진해야 한다는 여론이 한동안 힘을 얻고 있었다고 전했다.

그러나 이번 비상계엄 사태가 핵무기 보유와 관련한 세계의 신뢰를 얻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블룸버그는 “한국 계엄령 선포는 군사적 통제권에 관련한 의문을 키웠다”며 “핵무기 보유 국가로 신뢰를 얻을 수 있을지는 시간을 두고 봐야 할 문제”라고 지적했다.

한국이 핵무장을 추진하는 시나리오와 관련해 미국을 비롯한 세계 국가가 반대할 이유가 늘어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블룸버그는 “현재로서 한국과 미국의 협력 관계는 굳건히 유지되고 있지만 트럼프 정부 아래 어떤 일이 벌어질 지는 완전히 다른 문제”라고 전했다. 김용원 기자

최신기사

[KSOI] 이재명 여야대표 회동 긍정 59.6% 부정 23.9%, 모든 부문에서 긍정..
[KSOI] 이재명 지지율 54.6%로 하락, 중도층 긍정평가 60.1%
[KSOI] 검찰청 폐지 '공감' 46.6% '비공감' 42.1%, 중도층은 '공감'이..
비트코인 시세 상승에 한계 분명, '고래' 투자자 매수세 복귀 여부가 관건
SK증권 "롯데관광개발 아직 갈 길 많이 남았다, 하반기 실적도 검증되는 중"
2026 북중미 월드컵에 '기후위험' 경고, 파리 올림픽 '역대급 폭염' 재현 가능성
현대차-LG엔솔 공장 사태 "한국에 교훈" 외신 분석, 트럼프 정부 신뢰 어려워
한동훈 '남은 건 라방 정치', 당 혼란에 친한계 지적까지 '이러지도 저러지도'
중국 CATL 리튬광산 조기 가동 준비, 공급 과잉 우려에 주가 급락
[현장] 오픈AI 한국 공략 본격 시동, 소버린 AI 시장 흔들 '초대형 메기' 되나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