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2025금융포럼
기업과산업  전자·전기·정보통신

시장조사업체 "중국 올레드 생산능력 연평균 8% 성장, 2028년 한국 추월"

나병현 기자 naforce@businesspost.co.kr 2024-09-10 11:38:15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시장조사업체 "중국 올레드 생산능력 연평균 8% 성장, 2028년 한국 추월"
▲ 국가별 OLED 생산능력 전망. < DSCC >
[비즈니스포스트] 중국의 올레드(OLED) 생산능력이 2028년 한국을 추월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시장조사업체 DSCC는 10일 “중국이 세계 디스플레이 생산능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23년 68%에서 2028년 74%로 증가할 것”이라며 “반면 일본, 한국, 대만의 생산능력은 줄어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중국의 OLED 생산량이 가파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중국의 OLED 생산능력은 2023년부터 2028년까지 연평균 8%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의 연평균 성장률 전망치인 2%보다 4배 높은 것이다.

DSCC 측은 "중국이 2028년 OLED 생산능력에서 한국을 넘어설 것"이라며 "플렉서블 OLED 생산 규모에서도 2028년 중국 BOE가 삼성디스플레이를 역전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중국 비전옥스는 2028년 14% 점유율로 삼성디스플레이에 이어 플렉서블 OLED 생산량 3위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액정표시장치(LCD) 생산능력에서는 중국이 2028년 76% 점유율을 확보해 사실상 시장을 완전히 장악할 것으로 전망된다.

DSCC 측은 “2028년 LCD에서 BOE는 25%, CSOT는 18%로 점유율로 1, 2위를 유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나병현 기자

최신기사

키움증권 "HK이노엔 해외 진출 유효, 우호적인 모멘텀도 여전히 존재"
LG이노텍 3분기 영업익 2천억 전년 대비 56% 증가, "카메라모듈 공급 확대"
비트코인 시세 '롤러코스터' 주의보, 달러 가치 상승과 빅테크 실적이 변수
키움증권 "동아에스티 도입 상품이 ETC 성장 견인, 주가 상당히 저평가"
"트럼프에 왕관 준 이재명 정부" 외신 주목, 무역협정 타결은 "예상 밖" 평가
'부산 미중 정상회담' 시작, 트럼프 "중국 쉽지 않은 상대" 시진핑 "양국 관계 관리..
[전국지표조사] 10·15 부동산대책 '효과 없을 것' 53%, 무주택자 1주택자 모두..
SK실트론 정광진 사장 임명, "웨이퍼, 반도체 소재 사업에 넓은 식견 갖춰"
[전국지표조사] 부동산 거래세 인하·보유세 인상, '찬성' 52% vs '반대' 36%
[전국지표조사] 이재명 지지율 56%, 서울 긍정평가 54%로 2%p 상승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