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왼쪽), 이병모 STX조선해양 사장. |
STX조선해양이 법정관리에 들어갈 가능성이 커지면서 STX조선해양의 경영을 책임졌던 대표이사들도 주목을 받고 있다.
공교롭게도 대우조선해양의 구조조정을 이끌고 있는 정성립 사장, 법정관리 중인 대한조선을 경영한 이병모 STX조선해양 사장이 바통을 주고받으며 STX조선해양 경영을 맡아왔다.
25일 조선과 금융업계에 따르면 산업은행이 STX조선해양의 경영을 맡겨온 인사들이 STX조선해양의 법정관리행을 막는데 제 역할을 하지 못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산업은행은 그동안 STX조선해양에 자금지원뿐 아니라 다양한 인사를 대표이사에 임명하며 경영정상화를 꾀했다. 하지만 STX조선해양이 법정관리에 들어갈 것으로 보여 이런 노력이 수포로 돌아갈 공산이 커졌다.
산업은행은 2013년 9월 STX조선해양의 조기 경영정상화를 위해 강덕수 전 STX그룹 회장을 경영진에서 강제퇴진시키는 초강수를 뒀다. 당시 STX그룹의 주력 계열사들이 잇따라 채권단과 기업재무구조개선(워크아웃)을 신청하며 그룹이 해체될 것에 대비한 선제적 조치였다.
그러나 산업은행은 강 전 회장의 뒤를 이어 STX조선해양을 개선시킬 적임자를 찾는 작업부터 난항을 겪었다.
산업은행은 당시 박동혁 대우조선해양 부사장을 STX조선해양의 대표이사에 내정하려고 했다. 하지만 산업은행이 대우조선해양에 사전양해도 거치지 않았고 박 부사장에게 며칠 전에야 내정소식을 전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후폭풍이 거세게 불었다.
STX조선해양 노동조합과 협력업체는 박 부사장의 대표이사 인사안에 대해 대대적으로 반발했고 대우조선해양 내부와 노조도 산업은행에 불만의 목소리를 냈다.
결국 박 부사장은 STX조선해양 대표이사 후보에 추천된지 23일 만에 스스로 자리에서 물러났다.
산업은행은 STX조선해양 경영진 공백 사태를 하루 빨리 마무리하기 위해 2013년 10월 유정형 당시 STX조선해양 부사장을 대표이사에 임명했다. 그 뒤 두 달 만에 현역에서 물러나있던 정성립 현 대우조선해양 사장을 STX조선해양 대표이사로 불러들였다.
산업은행은 정 사장이 2000년대 초반 대우조선해양의 정상화를 이끌었다는 점에서 STX조선해양을 이끌 적임자로 판단했다. 정 사장이 2001년부터 2006년까지 대우조선해양 사장을 맡으면서 유정형 부사장과 일한 경험도 경영정상화 과정에서 시너지를 낼 것이란 기대를 받았다.
정 사장은 STX조선해양 대표이사에 취임하면서 “우리가 잘할 수 있는 선종으로 포트폴리오를 재편하라”는 방침을 내린 뒤 STX조선해양의 사업구조를 중형선박 중심으로 개편하는 작업을 추진했다.
STX조선해양은 2014년 중형유조선을 중심으로 모두 24척, 1조1800억 원의 수주성과를 올렸다.
영업실적도 크게 개선됐다. STX조선해양은 2013년 모두 1조5668억 원의 영업손실을 냈는데 정 사장의 취임 이후인 2014년 3137억 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적자폭을 크게 줄였다.
그러나 산업은행은 2015년 4월 STX조선해양의 경영진을 다시 교체했다. 정 사장을 대우조선해양 사장으로 이동하면서 이병모 당시 대한조선 대표이사를 STX조선해양 대표이사에 추천했다.
당시 업계에서 산업은행 관리 아래에 있는 조선업계 사장들이 서로 자리를 전전하고 있어 ‘돌려막기식’ 인사라는 지적도 나왔다. 대우조선해양과 STX조선해양 모두 산업은행이 최대주주다.
이병모 사장은 STX조선해양이 법정관리에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지난해 11월 노조를 설득해 인력 30%를 줄이고 임직원 급여 10%를 삭감하는 자구안을 마련했다. STX조선해양이 지난해 단 1건의 수주성과도 내지 못하며 채권단으로부터 구조조정에 대한 강한 압박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 사장은 올해 4월 초에도 영국을 방문해 선주들을 만나 수주 노력을 기울였지만 가시적 성과를 내지 못했다.
채권단이 STX조선해양의 생사를 법정에 맡길 것으로 전망되면서 정 사장과 이 사장의 자구노력도 끝내 빛을 보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