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노동조합이 직원 사망사건과 관련해 강경한 태도를 유지했다.
네이버노조는 2일 월간 공동성명 자료를 통해 “가해자를 임용하고 비호한
최인혁 전 최고운영책임자(COO)는 도의적 책임이 아니라 실질적 책임이 있다”고 했다.
앞서 네이버 이사회와 리스크관리위원회는 6월25일 임원 A의 괴롭힘을 당하다 사망한 직원 B씨의 사망사건을 놓고 직장내 괴롭힘을 확인하고 가해 임원 A를 해임했다.
최 전 COO가 도의적 책임을 지고 COO와 등기이사, 광고부문 사업부인 비즈 CIC(사내독립기업) 대표 등 네이버에서 맡은 직책에서 사의를 표시한 것을 두고도 수용했다.
다만 별도법인인 네이버파이낸셜의 대표, 공익재단 해피빈 대표 등 다른 법인의 7개 직책은 이번 사태와 무관하다는 판단 아래 계속 맡기기로 했다.
그럼에도 노조의 반발이 지속되자
이해진 글로벌투자책임자(GIO)는 직원 사망 한 달여만인 6월30일 모든 직원에게 보낸 이메일을 통해 “내 잘못이 가장 크다”며 공식 사과하며 수습에 나섰다.
이 GIO는 임원의 추가 징계와 관련해 “회사 안에서 직장인 괴롭힘이 발생했고 이것이 비극적 사건으로 이어졌다면 회사문화의 문제이고 한두 사람 징계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며 부정적 태도를 보였다.
이는 임원 A뿐 아니라 괴롭힘에 가담한 것으로 알려진 임원 B와 이들을 비호한 최 전 COO를 모두 해임하라는 노조의 주장과 대립한다.
이 GIO가 “회사를 위해 당장 책임을 지고 싶지만 새 구도를 짜고 다음 경영진을 선임하려면 시간이 필요하다. 연말까지 경영 체계쇄신을 마무리하려는 이사회의 제안이 맞다고 생각한다”고 말한 것을 놓고도 노조는 반대의 뜻을 보였다.
노조는 “경영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시간이 필요하다고 하는데 그럼 인수인계 없이 경질되는 장관들 때문에 나라에 큰 문제가 있었나”라며 “소수의 경영진에 집중된 권력이 문제라고 스스로 인정하는 건가”라고 따졌다.
이들은 “책임을 져야 하는 위치에 있는 사람이 ‘도의적 책임’이란 포장으로 해당 직무만 내려놓는 모습은 누가 봐도 공정하지 않다”고 비판했다.
노조는 6월29일부터 시작한 피케팅 시위를 임원 B와 최 전 COO의 해임, 노사공동 재발방지대책위원회 구성 등 2가지 요구사항이 수용될 때까지 계속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비즈니스포스트 류근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