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이 도심항공교통(UAM)시장에서 항공교통관리를 시작으로 항공운송, 정비 등 서비스 분야로 참여범위를 넓혀갈 것으로 보인다.
대한항공은 기체 제조업체와 비교해 여객, 운항, 관제, 정비 등에서 경험을 지닌 만큼 부가가치가 높은 서비스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 조원태 대항항공 대표이사 겸 한진그룹 회장.
7일 대한항공에 따르면 K-드론시스템 실증 지원사업에 참여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K-드론시스템은 드론 비행계획 승인, 위치정보 모니터링, 주변 비행체와 충돌 방지 등을 지원하는 교통관리시스템이다.
K-드론시스템은 도심항공교통사업의 핵심인프라다. 항공교통관리시스템을 개발해 도심항공교통사업에 발을 들이려는 대한항공의 전략과 맞닿아 있다고 볼 수 있다.
국토교통부는 4월26일부터 시작한 공모신청 접수를 5월13일까지 받는다.
대한항공은 항공교통관리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 대학, 연구소 등과 협의체를 꾸리겠다는 계획도 세워두고 있다.
도심항공교통사업은 기체 개발·생산, 운송·운용, 공역설계·통제, 운항관리·지원, 사회적 기반(이착륙장) 등 5가지 기술분야로 나뉜다.
대한항공은 운송·운용분야, 운항관리·지원분야에서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도심항공교통사업에 참여하고자 한다.
운송·운용분야는 도심비행관리, 정비(MRO), 운항관리·지원분야는 교통흐름관리 등을 포함한다.
국토부의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로드맵에 따르면 도심항공교통 관련 시장규모는 약 13조 원대로 추정된다.
전체 시장에서 항공운송, 정비 등 서비스분야가 75.4%, 인프라가 15.4%, 기체제조가 9.2%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한항공은 공항 내 라인정비(간단한 정비)부터 중정비(완전분해 정비)까지 다양한 정비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도심항공교통사업에서도 경쟁력을 보여줄 수 있다.
대항항공 관계자는 “대한항공은 여객, 운항, 관제, 정비 등 서비스 노하우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부가가치가 큰 서비스시장에 진출할 수 있다”며 “항공운송서비스 경험이 없는 제조업체는 도심항공교통시장에서 기체 제조 및 일부 서비스분야로 진출범위가 한정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대한항공은 도심항공교통사업과 관련해 기체 개발에 참여할 가능성도 열어 두고 있다.
대한항공은 2013년 수직으로 이착륙할 수 있는 틸트로터 무인기(기술검증기)의 시험비행에 성공한 바 있다.
대한항공이 기체 개발에 참여한다면 독자개발보다는 기존 기업과 협업을 통한 방식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현대자동차, 한화시스템이 기체를 개발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한항공이 경쟁을 펼치기에는 투자여력 등에서 부담스러울 수 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국방사업을 통해 무인기 핵심기술 및 비행체 플랫폼 제작역량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언제든 도심항공교통 기체 개발에 참여할 수 있다”며 “도심항공교통 기체와 관련한 핵심기술인 복합소재, 자율비행 및 군집비행, 틸트로터 기술 등을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고두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