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한재 기자 piekielny@businesspost.co.kr2020-04-26 16:15:32
확대축소
공유하기
동해북부선을 통해 남북철도사업에 힘이 실리면서 남한과 북한의 경제협력 재개를 향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현대건설 등 대형건설사들은 남북경협이 본격화하면 수혜가 기대되는 만큼 상황 변화를 주시하고 있다.
▲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2018년 12월26일 북측 개성 판문역에서 열린 남북 철도·도로 연결 및 현대화 착공식에서 적은 침목서명. <연합뉴스>
26일 정치권 안팎의 말을 종합하면 동해북부선 강릉-제진 철도건설사업을 시작으로 2019년 2월 미국과 북한의 하노이 정상회담 이후 사실상 멈췄던 남북경협사업 논의에 힘이 실릴 것이라는 시선이 나온다.
통일부는 27일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판문점선언 2주년을 맞아 강원도 고성군 제진역에서 김연철 통일부 장관,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최문순 강원도지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동해북부선 추진 기념식’을 연다.
정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동해북부선 가운데 남한 구간인 강릉과 제진을 잇는 110km 철도를 복원하는데 예비타당성조사를 생략하는 등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낼 준비를 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동북아평화협력특별위원장을 맡고 있는 송영길 의원은 “동해선철도가 대륙철도망과 연결되면 교통, 물류, 에너지협력 분야에서 상상할 수 없는 파급효과가 날 수 있다”며 “21대 국회에서 남북철도 연결사업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힘을 보태겠다”고 말했다.
21대 총선에서 민주당의 압승으로 정부가 남북경협 재개에 본격적으로 힘을 실을 여건이 마련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정세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은 20일 tbs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서 “문 대통령이 국민적 지지를 받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남북관계를 풀어 나가는 데 좀 더 용기 있게 추진할 수 있고 그야말로 북미관계보다 한발 앞서 나갈 수 있는 좋은 동력을 얻게 됐다”고 바라봤다.
철도사업을 비롯한 남북경협은 국내 건설업계의 대형 호재로 평가된다.
북한의 전력, 통신, 철도 등 7개 사회간접자본(SOC)의 독접 사업권을 지닌 현대아산은 물론 현대건설, GS건설, 대우건설 등 국내 다수의 대형건설사들은 2018년 남북관계에 훈풍이 불 때 남북경협지원단, 북방사업지원팀 등 태스크포스(TF)팀을 꾸리고 남북 경협을 대비했다.
재계에서는 남북관계가 회복되면 처음에는 금강산 관광과 개성공단 재개부터 시작되겠지만 결국에는 국내 대형건설사가 남북 경협을 이끌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
남북경협은 북한 사회간접자본 개발 활성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고 국내 대형건설사들은 이미 글로벌시장에서 인정받은 경쟁력을 바탕으로 적극적으로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018년 남북경제교류특별위원회를 출범했는데 대형건설사인 HDC현대산업개발을 이끄는 정몽규 HDC그룹 회장을 초대 위원장으로 선임하기도 했다.
▲ 정몽규 HDC그룹 회장이 2018년 11월7일 서울 영등포구 전경련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남북경제교류특별위원회 창립회의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통일부는 동해북부선 강릉-제진구간사업의 조기착공 계획을 밝히면서 이번 사업을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국가 균형발전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한반도 뉴딜사업’으로 재정의했다.
대한건설협회는 24일 국내 경기 활성화를 위해서는 국내 사회간접자본(SOC) 확대가 필요하다는 내용을 담은 ‘한국형 뉴딜 빌드코리아(Build-Korea)’ 정책 건의서를 정부와 국회에 제출했다.
문 대통령은 22일 비상경제회의에서 ‘한국판 뉴딜’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는데 남북 경협이 진정한 의미의 한반도 뉴딜사업으로 발전한다면 건설업계는 사회간접자본 예산 확대를 뛰어넘는 새로운 기회를 잡을 수도 있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국내사업은 일감이 줄고 해외사업은 경쟁이 점점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북한이 새롭게 열린다면 매력적 시장이라는 점은 틀림없다”며 “다만 대북사업은 자체적으로 통제할 수 없는 변수가 너무 많고 아직 가시화한 것도 없어 상황 변화를 주의깊게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한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