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창재 교보생명 회장이 우리은행을 넘보고 있다. 새해 벽두 우리은행 인수 의사를 밝혔다. 우리 나라 최초의 '어슈어 뱅크'(은행을 소유한 보험사) 탄생을 위한 도전이다. 이 도전 너머에는 경영권 승계까지 고려한 큰 그림이 깔려있다는 분석이다.
![]() |
||
▲ 우리은행 인수 의사를 밝힌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 |
교보생명이 우리은행을 인수하면 은행, 보험, 증권, 카드 등 종합금융그룹으로 면모를 갖추게 된다. 이를 통해 업계 1위로 나아가겠다는 신 회장의 의지를 반영한 것이다. 교보생명은 생명보험 업계에서 한화생명과 2~3위를 다툰다. 우리은행을 인수하면 보험과 은행의 시너지효과로 독보적 2위 자리를 굳힐뿐만 아니라 1위인 삼성생명의 자리도 엿볼 수 있다. 보험이 은행의 고유업무인 지급결제 등이 가능해지면 보험 업무에서 편의성이 대폭 증가할뿐만 아니라 상품의 폭도 넓어진다. 우리 은행의 전국 지점망 역시 교보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과제도 많다. 교보생명이 우리은행을 인수하기 위해서는 자금 동원력과 대주주 적격성 심사 등 넘어야 할 걸림돌이 한둘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 회장이 우리은행 인수전에 뛰어들 의사를 밝힌 것은 이런 걸림돌에 대해 어느 정도 검토를 끝낸 것으로 보인다.
신 회장이 우리나라 최초의 어슈어 뱅크에 도전하고 나선 데는 또다른 이유가 있다는 분석이다. 환갑을 넘긴 신 회장이 본격적으로 경영권 승계 작업을 시작했다는 것이다. 곧 자산승계율 0%인 교보생명에 대한 고민을 풀 수 있는 해결책으로 우리은행 인수를 고려하고 있다는 것이다.
신 회장의 아들 신중하(34), 신중현(32) 씨는 교보생명의 주식을 단 한 주도 가지고 있지 않다. 두 아들은 경영에 참여하지 않으며 다른 회사와 학교에 다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 회장의 교보생명 지분은 33.78%로 안심할 정도는 아니다. 그러나 캐나다 온타리오 교직원 연금, 코세어 캐피탈, 어피니티 컨소시엄 등 28.77%가 우호지분으로 분류돼 경영권을 위협받지는 않는다. 다만 단기 이익을 추구하는 사모펀드의 특성상 상장 후 기업공개로 주식 가치를 높여 차익을 추구하려 할 수 있다.
경영권 승계를 위한 어떤 장치도 마련되지 않는 교보생명은 신 회장에게 부담이 된다. 현재도 신 회장의 지분 가치는 2조원을 넘어선다. 승계 과정에서 높은 증여세가 예상된다. 하물며 상장으로 주가가 더 오르면 증여세가 더 많아지기 때문에 경영권 승계가 쉽지 않다. 이 경우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이 지주사 전환이다. 인적분할 형태로 지주회사를 설립해 대주주 지분을 지주회사 지분으로 바꾸면 대주주의 지배구조가 강화되기 때문이다.
교보생명이 우리은행을 인수하면 보험, 은행은 물론 교보증권과 우리카드를 포함해 종합금융그룹이 된다. 두 기업의 자회사를 합하면 12개로 그 규모도 만만치 않다. 교보생명이 이렇게 세를 불려 지주회사체제로 전환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 경우 신 회장은 지주회사 회장이 되고 후계자가 교보생명 CEO가 될 수 있다.
교보생명의 신 회장은 생명보험사들 중 유일한 오너CEO다. 동시에 교보생명은 삼성, 한화 등 라이벌 기업과 달리 여전히 비상장기업으로 남아있는 생명보험사이기도 하다.
<저작권자(c) 비즈니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김디모데 기자의 다른기사보기불닭볶음면 부러운 오뚜기 미국에 공장 짓다, 함영준 '트럼프 관세'에 현지화 승부 |
'ESG 우등생' 오뚜기 지배구조도 투명하게, 함영준 이사회 의장 분리는 언제 결단할까 |
오뚜기 '장자 승계'한 함영준, 3세 경영은 함윤식 함연지 '남매 체제'로 가나 |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협상 재개, 오후 8시30분부터 실무자끼리 모여 |
법원, '김문수 후보 확인·국힘 전당대회 금지' 가처분 신청 모두 기각 |
콜마홀딩스 콜마비앤에이치에 이사회 개편 위한 주총 요구, 윤상현 윤여원 남매 '경영권 .. |
국힘 지도부 '강제 단일화' 가능성 커지나, 법원 후보자 지위 가처분 신청 기각 |
DS투자 "넷마블 올해 내내 비용 통제 예상, 게임 8종 출시 대기 중" |
DS투자 "KT&G 해외서 담배 잘 나가, 전자담배·건기식 부진은 아쉬워" |
빙그레 신임 대표이사에 김광수 내정, 물류 계열사 '제때' 대표에서 이동 |
GS 1분기 영업이익 8천억으로 21% 감소, GS칼텍스 실적 급감 영향 |
SK디앤디 1분기 영업이익 71억 내며 흑자전환, 매출은 79% 늘어 |
신한투자증권 "국내주식 약정액 22%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에서 발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