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3만2047달러로 4년 만에 뒷걸음질했다.
낮은 경제성장률과 원화 약세까지 겹친 탓이다.
▲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2019년 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은 3만2047달러로 지난해보다 4.1% 감소했다. <사진=연합뉴스> |
지난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잠정치는 2.0%로 1월 발표한 속보치와 같았다. 물가상승률을 감안한 명목 GDP 성장률은 1.1%로 국제통화기금(IMF) 위기를 겪었던 1998년 이후 가장 낮았다.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2019년 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은 3만2047달러로 2018년보다 4.1% 줄었다. 2015년 이후 4년 만에 감소로 전환했다.
지난해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 및 반도체업황 악화로 GDP 성장률이 둔화한 데다 원/달러 환율이 연평균 5.9% 상승하면서 미 달러화 기준으로 환산한 가치가 줄었다.
원화 기준으로는 2018년보다 1.5% 성장해 외환위기 이후 최저치를 보였다.
지난해 실질 GDP 성장률은 2.0%을 보였다. 정부소비 성장률은 6.5%로 2009년(6.7%) 이후 가장 높았던 반면 민간소비 성장률은 1.9%에 그쳐 2013년(1.7%) 이후 가장 낮았다.
건설투자는 -3.1%로 2018년(-4.1%)에 이어 마이너스를 이어갔으며 설비투자도 -7.7%로 글로벌 금융위기였던 2009년(-8.1%) 이후 최저였다.
수출은 1.7%로 2015년(0.2%) 이후 가장 낮았고 수입도 -0.4%로 2009년(-7.2%) 이후 가장 낮았다.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명목 GDP 성장률은 1.1%에 그쳤다. 1년 전인 2018년(3.1%)의 3분의 1 수준으로 1998년(-0.9%) 이후 21년 만에 가장 저조했다. 체감경기는 더 악화했다는 의미다.
경기 부진에 낮은 물가까지 겹친 영향으로 풀이된다. 보통 명목성장률은 실질성장률을 웃돌지만 지난해엔 물가 상승폭이 크게 제한돼 이례적으로 명목성장률이 더 낮은 역전현상이 벌어졌다. 2006년 이후 13년 만에 처음이다.
지난해 GDP디플레이터는 2018년보다 0.9% 하락했다. 이 역시 1999년(1.2%) 이후 최저다.
GDP디플레이터는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눈 것으로 경제 전반의 물가 수준을 보여준다. 분기별 GDP디플레이터는 사상 처음으로 5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보였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