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거돈 부산광역시 시장이 조선업황 악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산지역 선박기자재기업들을 지원에 팔을 걷어붙였다.
국제해사기구(IMO)의 규제 강화에 따른 탈황설비 및 액화천연가스설비 수요 증가흐름은 새로운 기회가 될 것으로 보고 부산 기업들의 친환경 선박기자재 글로벌시장 진출을 돕기 위해 가덕도 신항 근처에 ‘다목적 해양실증 플랫폼'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9일 부산시에 따르면 글로벌 선박기자재시장에서 선박연료의 황산화물 함유기준을 강화한다는 국제해사기구의 방침에 따라 세계적으로 탈황설비 등 친환경 기자재 수요가 늘고 있다.
선박기자재기업들은 2010년 이후 세계경기 침체와 조선분야 대기업 경영난 등 영향으로 불황을 겪어왔다.
그러나 '파나시아' 등 일부 부산지역 기자재기업은 일찌감치 탈황설비 등 친환경 기자재 기술을 확보해 호황을 누리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따라 부산시와 산업통상자원부는 가덕도 신항 남쪽에 다목적 해양실증 플랫폼을 조성해 부산지역 선박 기자재분야 기업들의 친환경 기자재 제품 실증과 상업화를 돕고 이를 위한 시범용 선박도 제작하기로 했다.
다목적 해양실증 플랫폼사업에 부산시와 산업통상자원부는 정부 예산 215억5천만 원, 부산시 예산 118억5천만 원, 민간자본 54억 원을 투입한다.
오 시장은 지난해 국회를 수차례 방문해 더불어민주당뿐 아니라 자유한국당 등 예산결산위원들을 만나 다목적 해양실증 플랫폼에 들어갈 국비 예산을 확보하기 위한 설득 작업을 다각도로 벌이기도 했다.
전국 선박기자재기업의 34%인 449곳이 부산에 자리잡고 있어 친환경 기자재 실증사업을 추진하기에 부산이 가장 적합한 곳으로 평가되며 다목적 해양실증 플랫폼이 들어서게 됐다.
부산시 관계자는 “이번 다목적 해양실증 플랫폼사업으로 부산지역 선박기자재기업들은 연간 632억 원의 추가매출을 올릴 수 있을 것”이라며 “부산에 417개의 고급 일자리가 만들어질 것”이라고 바라봤다.
부산시는 기자재기업들이 다목적 해양실증 플랫폼을 이용해 실적을 쌓으면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기자재시장에도 도전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그동안 진출이 어려웠던 대형선 기자재시장 진출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대형선 기자재는 고부가 제품이지만 고장나거나 파손되면 대형 사고를 유발할 수 있어 높은 신뢰도가 요구되며 특히 일부 핵심기자재는 선주가 직접 결정하는 관행이 있어 작은 기업의 시장진입이 어렵다.
현재 한국기업들이 개발한 기자재 가운데 대형선 기자재는 사용실적이 적어 국외는 물론 국내기업도 잘 도입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된다.
아울러 부산시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와 협력해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에 시장개척단을 파견해 조선기자재기업의 신흥 아시아시장 선점과 수출을 돕고 있다.
부산시는 부산지역 기자재기업들에게 수출상담장, 통역 등 마케팅활동 제반사항을 지원하고 거래선 발굴과 상담주선 등도 돕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충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