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수 전라북도 전주시장과 박성일 완주군수가 전주와 완주의 협력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인위적 통합보다는 자연스럽게 함께하는 생활권을 만들어가며 전주와 완주 통합을 위한 공감대 조성에 나서는 것으로 보인다.
▲ 김승수 전주시장(왼쪽)과 박성일 완주군수. |
19일 전주와 완주지역 관계자에 따르면 전주와 완주의 공동사업이 활발한 것을 놓고 전주와 완주의 통합을 다시 추진하기 위한 밑거름 다지기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김승수 시장과 박성일 군수가 2013년 각각 전라북도 정무부지사와 행정부지사로서 전주와 완주의 통합 프로젝트를 이끈 사이였기 때문에 두 단체장이 전주와 완주의 통합에 다시 힘을 모은다는 분석이 많이 나오고 있다.
김 시장과 박 군수는 2014년 부지사를 사퇴하고 지방선거에 뛰어들어 각각 전주시장과 완주군수가 됐다.
두 사람은 2014년 지방자치단체장 초기에는 전주와 완주의 통합에 말을 아꼈다. 전라북도 부지사 시절 추진했던 통합이 결실을 맺지 못했는데 바로 통합 이야기를 꺼내는 것이 쉽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김 시장과 박 군수는 2018년 재선 이후 전주와 완주의 통합을 꺼내기 시작했다.
박 군수는 재선에 성공한 1주년 인터뷰서 전주와 완주의 통합 논의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김 시장도 전주의 특례시 지정 필요성을 강조하며 완주와 통합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시장은 “전주가 인구는 66만 명이지만 동일 생활권인 완주까지 포함하면 실제 생활인구는 이미 100만 명을 넘어섰다”며 “전주와 완주는 워낙 생활에서 밀접하기 때문에 옛날 하나의 지역이었던 것으로 통합복원돼야 한다는 당위성을 지니고 있다”고 말했다.
전주와 완주의 실질적 공동사업도 활발하다.
김 시장과 박 군수는 14일 전주시청에서 전주화승원(화장시설) 현대화사업 공동추진 업무협약을 맺었다.
전주시 완산구 효자공원묘지 인근에 마련된 전주화승원은 건립된 지 40년이 넘어 많이 낡았고 주변의 인프라도 부족해 이용객들의 불편함이 지적돼 왔다.
김 시장과 박 군수는 현대화사업에 투입되는 비용은 똑같이 부담하고 이후의 유지보수비용은 인구에 비례해 나누기로 했다.
정부의 수소시범도시 공모에도 함께 참가했다.
수소시범도시로 선정되면 수소를 주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소 생산과 저장·이송·활용이 모두 도시 안에서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수소 생태계의 기반여건을 갖추게 돼 지자체 사이 유치경쟁이 치열하다.
전주시는 올해 초 발표된 정부의 수소산업 육성방침에 따라 3월 완주군과 함께 1억5700만 원을 들여 ‘수소산업 마스터플랜 수립 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이외에도 전주와 완주의 버스 요금을 단일화하고 노선을 개편했으며 전북혁신도시의 정주여건 개선 등도 함께 추진하며 전주와 완주의 동반성장에 힘을 기울였다.
전주시와 완주군의 통합은 1997년과 2009년, 2013년 세 차례에 걸쳐 추진됐지만 모두 무산됐다.
통합에 따른 이익이 전주시에만 쏠리고 완주군은 변방으로 전락해 주민 삶의 질이 떨어진다는 반대논리에 막혔다.
김 시장과 박 군수는 이와 같은 지적과 우려를 잘 알고 있기 때문에 급격하게 인위적 통합에 나서지 않고 자연스런 생활권 통합과 행정서비스 제공을 통해 통합이후 두 지역의 실질적 생활향상을 고려하는 공감대 조성에 나서는 것으로 보인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남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