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시민과경제  경제정책

고액 국외채권 1조5622억 미회수, 이훈 "손실 최소화방안 강구해야"

류근영 기자 rky@businesspost.co.kr 2019-10-18 11:39:53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한국무역보험공사가 300만 달러 이상 국외채권 176건 가운데 1조5622억 원을 회수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18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이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무역보험공사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무역보험공사가 특별관리하는 ‘300만 달러 이상 국외채권’ 현황에서 국외채권 176건에 2조7562억 원이 지급됐지만 1조5622억 원은 회수되지 못했다.
 
고액 국외채권 1조5622억 미회수, 이훈 "손실 최소화방안 강구해야"
▲ 이훈 더불어민주당 의원.

무역보험공사는 한국기업이 해외거래처에 수출품을 공급한 뒤 수출대금을 받지 못하면 그 금액만큼 수출기업에게 먼저 보상해주고 있다. 300만 달러 이상 국외채권은 고액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무역보험공사의 특별관리 대상이다.

하지만 특별관리 대상인 176건의 국외채권 가운데 75건, 6505억 원은 단 한차례도 회수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가운데 아예 회수가 불가능한 사례는 55건, 3991억 원에 이르렀다.

유형별로 회수대상기업이 파산한 사례가 39건, ‘영업중단’이나 ‘자산없음’ 8건, 기타 6건, ‘소송 중이지만 발생한지 10년 이상 된 사례’ 2건 등이 있다.

미회수 채권과 해당국가의 경제규모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2018년 기준 국내총생산 1위인 미국에서 무역보험공사는 D기업에 1999년 국외채권 190억 원을 발급했지만 20년 지나도록 단 한 푼도 회수하지 못했다.

반면 국내총생산 112위인 가봉의 A기업에 2017년 발행한 46억 원의 채권은 원금의 약 93%인 43억 원이 회수됐다.

이훈 의원은 “국외채권 특성상 선진국이라 잘 회수되고 개발도상국이라 회수가 잘 되지 않는 게 아니라 무차별로 보험사고가 발생하기 때문에 예방책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10년 이상 회수 불가능한 국외채권에 관해서도 반드시 회수할 수 있는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무역보험 손실 최소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비즈니스포스트 류근영 기자]

최신기사

SK텔레콤 '1인당 30만 원 배상 조정' 거부할듯, 가입자 전원 소송 땐 7조 배상 ..
LS 미국 자회사 '에식스솔루션즈' 상장설명회 "2029년까지 설비투자 6천억 필요"
유비리서치 "IT용 OELD 출하량, 2029년까지 2배 이상 증가"
삼성전자 일부 임원에게 퇴임 통보 시작, 이르면 21일 사장단 인사
토지주택공사 신임 사장 공모 시작, 내년 초 취임 전망
비트코인 시세 하락에 '저점 임박' 관측 나와, "건강한 조정구간 범위" 분석
대우건설 정원주 태국 총리 예방, "K시티 조성으로 시너지 창출"
엔비디아 기대 이상 성과에도 증권가 회의론 여전, 'AI 버블' 우려 해소 어렵다
경제계 "성장기업 돕는 '스케일업 하이웨이' 구축해야, '생산적 금융' 필요"
오우라 삼성전자 갤럭시링 상대로 재차 특허침해 소송, "곡선형 부품 유사"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