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갑 한국전력공사 사장이 전기요금 개편과 인상에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키웠던 것과 달리 내부적 재무 개선을 위해서는 계획만 내놓은 채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10일 한국전력 안팎의 말을 종합하면
김종갑 사장은 2019년 자체 재무 개선계획을 만들었지만 구체적으로 추진하는 데에는 속도가 나지 않고 있다.
한국전력은 내부적 재무 개선 노력으로 비효율적 투자사업 정리, 부동산 매각, 발전자회사 지원금 축소 등을 통해 2019년 2조 원 규모의 재무 개선효과를 거두기로 목표를 세웠다.
특히 발전 자회사를 대상으로 1조1천억 원 규모의 재무 개선효과를 달성하기로 했다.
그러나 김 사장이 취임한 뒤로 한국전력에서 실제로 사업을 접거나 부동산을 매각해 자금을 확보한 사례는 찾아보기 힘들다.
한국전력이 발전 자회사에 용량요금을 필요 이상으로 많이 주고 있어 발전사 지원금을 축소해야 한다는 비판은 2018년부터 나왔지만 해결에 진척은 없다.
용량요금이란 발전설비에 신규 투자를 유도하고 발전설비 유지 부담을 덜어주기 실제 발전 여부와 상관없이 미리 정해진 요금을 지급하는 제도다. 발전설비 건설에 들어가는 고정비를 보전하는 데 주된 목적을 둔다.
2018년 10월 국회 국정감사에서 조배숙 민주평화당 의원이 제시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전력은 2001~2017년 발전자회사 5곳에 가동한 지 15년이 넘은 석탄화력발전기 35기를 기준으로 24조8765억 원을 지급했다.
이 석탄화력발전기 건설금액 13조849억 원보다 11조7915억 원 더 많이 지급됐다.
김 사장도 용량요금이 불필요하게 많이 지급된다는 점을 인정했다.
김 사장은 “용량요금 지급 기준을 다시 검토해야 한다는 데 동의한다”며 “용량요금과 관련해 정부 주관으로 태스크포스(TF)가 구성됐고 한국전력도 여기에 참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한국전력 수익성과 전기요금 개편 문제는 별개라고 선을 그으면서 김 사장은 내부 비상경영에서 더 허리띠를 졸라매는 수밖에 없게 됐다.
김 사장은 그동안 원가 이하로 받는 전기요금 규모가 4조7천억 원에 이르고 원전 계획예방정비, 액화천연가스(LNG) 가격 상승세 등에 따라 비용 부담이 커진 데서 한국전력 적자의 이유를 찾았다.
그러나 앞으로는 한국전력 외부가 아닌 내부에서 수익구조 개선방안을 찾아야 할 필요가 커졌다.
한국전력이 3월 곽대훈 자유한국당 의원에게 제출한 ‘2019년 재무 개선계획’에 따르면 진행하는 사업에서 수익성이 낮은 사업들은 청산하거나 중단해 196억 원을 절감한다.
울릉도 친환경 자립섬 특수목적회사(SPC), 대구 청정에너지 사업, 나이지리아 석유광구 발생비용 환수 등이 해당한다.
앞으로 이뤄질 설비 증설, 사옥형 충전기 사업도 취소하거나 물량을 축소해 42억 원을 절약한다. 강릉 자재야적장, 수색변전소 등 부동산을 매각해 347억 원을 확보할 수도 있다.
한국전력은 재무 개선효과를 본사에서 8870억 원, 발전자회사들을 통해서는 1조1천억 원 거두는 것으로 계획을 세워뒀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