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석유화학업계는 저유가로 최악의 실적을 기록했다.
LG화학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매출은 2% 줄어들었고 영업이익은 25%나 감소했다.
그러나 한줄기 서광이 비친다. 전지사업부문이 유일하게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성장했다. 매출은 10.5%, 영업이익은 100.9% 증가했다.
![]() |
||
▲ 박진수 LG화학 부회장 |
일본 에너지저장장치시장은 올해 623억 엔에서 2025년 2454억 엔으로 연평균 약 14.7%의 높은 성장이 기대된다.
LG화학은 올해 중앙연구소를 확대개편하고 이진규 서울대학교 화학부 교수를 수석연구위원으로 영입하는 등 기술 연구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유가하락으로 타격을 입은 석유화학부문보다 전지부문에 역량을 기울이고 있다.
박진수 LG화학 부회장은 “최근 국제유가가 서서히 오르고 있으나 반등을 논하기 이르다”며 당분간 저유가 국면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유가하락은 주력사업인 석유화학부문에도 타격을 주지만 전지사업 부문의 주축인 전기차 배터리사업에도 영향을 미친다.
유가가 떨어지면 전방산업인 전기차의 경쟁력이 떨어져 배터리사업도 위축되기 때문이다. LG화학이 전지사업부문 중에서도 에너지저장장치를 유일한 돌파구로 여기는 이유다.
세계 에너지저장장치시장은 2013년 16조 원에서 2020년 58조 원으로 3배 이상 성장이 예상된다.
LG화학 전지사업본부장을 맡고 있는 권영수 사장은 “북미와 유럽에 이어 일본시장을 공략해 에너지저장장치 분야에서 세계 일등으로 올라설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
<저작권자(c) 비즈니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김디모데 기자의 다른기사보기삼성바이오로직스 인적분할 뒤에도 초격차 가속, 존 림 기술 진보와 생산 안정성 다 잡는다 |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무죄'의 교훈 이사회 정비, 존 림 이사회 의장 겸직 해결 남아 |
삼성바이오로직스 지배구조 개편 논란 잠재웠지만, CFO 유승호 투자와 주주환원 균형 무거워 |
LX홀딩스, LG에서 임차해 사용하던 LG광화문빌딩 본사 건물 5120억에 인수 |
GM·LG엔솔 공동개발 'LMR 배터리' 북미에서 혁신상 수상, 기술력 인정받아 |
마이크론 중국에서 서버용 반도체 사업 철수,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반사이익 |
하루건너 '사상 최고' 기록에 '금 상품' 전방위 인기, 수요 넘쳐 은도 귀해졌다 |
코스피 '장중 최고치 경신' 뒤 3740선 보합권 숨고르기, 원/달러 환율 3.3원 오.. |
오스템임플란트 잇단 자회사 합병, MBK 몸집 불려 '재매각' 수익 극대화 노림수인가 |
한화솔루션 트럼프 태양광정책 수혜 미뤄져, 박승덕 미국 설비 양산이 돌파구 |
중국 BYD 친환경차 11만5천 대 리콜, 설계 결함 및 전기차 배터리 안전 문제 |
[인터뷰] 비즈니스피플 본부장 정민호 "온라인 헤드헌팅 비파인더 이용기업 크게 늘어" |
[이주의 ETF] 미래에셋자산운용 'TIGER 2차전지소재Fn' 34%대 올라 상승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