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물자원공사가 광해관리공단과 통합 작업을 우선 과제로 추진하고 있어 사장 자리가 당분간 빈 채로 남아있을 가능성이 높다.
9일 공기업계에 따르면 광물자원공사는 해외자원 개발사업 수사로 6월부터 사장이 빈 상황에서 특별한 선임 절차를 진행하지 않고 있다.
▲ 광물자원공사 조감도. <광물자원공사 홈페이지>
6월 김영민 전 광물자원공사 사장이 물러났지만 산업통상자원부가 후임 사장 공모와 관련해 지침을 내리지 않아 임원추천위원회도 구성되지 않았다.
당시 같은 사건으로 사장이 물러난 한국지역난방공사는 곧바로 사장 후보 공모를 진행해 최종 결정을 앞두고 있어 광물자원공사와 대조적 상황을 보이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5월 이명박 정부에서 진행된 해외자원 개발사업과 관련해 검찰에 수사를 의뢰하면서 김영민 전 광물자원공사 사장과 김경원 전 지역난방공사 사장은 연이어 자리에서 내왔다.
광물자원공사는 광해관리공단과 통합을 추진하는 만큼 통합 전까지는 공석체제를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
광물자원공사는 정부 주도 아래 광해관리공단과 통합을 진행하고 있다.
박기영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자원정책관은 7월 해외자원 개발 혁신 태스크포스(TF) 회의에서 “광물자원공사와 광해관리공단의 통폐합은 확정된 데 따라 그대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물자원공사는 관련 자산도 대부분 매각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월 공공기관 운영위원회에서 광물자원공사와 광해관리공단 두 기관을 통폐합하기로 의결했다.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통합 법안을 대표발의하기 위해 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광물자원공사 관계자는 "사장 인선은 공사가 아닌 산업통상자원부에서 결정되는 일"이라며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아무런 지시가 없어 잠정적으로는 사장 공석체제가 유지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광물자원공사와 광해관리공단 통폐합이 늦어지면 광물자원공사 사장 선임의 필요성이 떠오를 수 있다.
광물자원공사는 6월 이후 사장 자리를 계속 비워두고 있어 통폐합 일정에 따라 사장 공석 기간이 더 길어지면 조직 관리와 경영 유지가 불안정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광물자원공사와 광해관리공단 통폐합은 정부 주도로 추진되고 있지만 통합에 급급할 것이 아니라 두 기관을 합친 뒤 발생할 수 있는 동반 부실 방지 계획부터 내놓아야 한다는 얘기를 듣고 있다.
광해관리공단 노동조합은 8월 “산업통상자원부는 통합 뒤 발생할 수 있는 동반 부실을 막기 위해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겠다고 3월 약속했지만 현재까지 그 어떠한 구체적이고 명확한 부실 방지대책은 공식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있다”며 “7월 해외자원 개발 혁신 태스크포스(TF) 회의에서 자원개발 공기업과 관련해 일관성 없는 정책만 늘어놨다”고 주장했다.
최재훈 노조위원장은 “대규모 부채에 근본적 대책 없이 광물자원공사와 광해관리공단이 합쳐지면 또 하나의 적자 공기업만 재탄생할 뿐”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