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병규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장은 “데이터는 4차산업혁명의 핵심자원”이라며 “데이터와 관련한 우리 현주소를 토대로 데이터의 산업적 가치창출을 획기적으로 이끄는 전략을 마련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그는 “시대적 변화에 부응하지 못하는 개인정보 관련 법제도와 양질의 데이터 부족이 4차 산업혁명 확산에 걸림돌로 적용하고 있다”며 “데이터 이용의 패러다임 전환이 빅데이터산업 경쟁력 강화에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정부는 ‘데이터를 가장 안전하게 쓰는 나라’를 비전으로 삼고 △데이터 이용제도 패러다임 전환 △데이터 가치사슬 전주기 혁신 △글로벌 데이터산업 육성기반 조성의 3대전략을 마련했다.
정부는 마이데이터 시범사업을 추진하는 등 개인정보의 자기통제와 활용권한을 확립하기로 했다. 개인정보의 안전한 활용을 제도화하기 위해 연내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을 추진하고 블록체인 등 신기술도 적용해 나간다.
데이터 가치사슬 혁신을 위해 보건의료, 제조공정, 농식품, 교통, 환경 등 산업별로 전방위적 데이터를 구축하고 공공과 민간데이터를 획기적으로 개방하기로 했다.
민간과 공공을 연계한 개방형 데이터 거래기반을 구축하고 5년간 500개 기업에 빅데이터 분석 전문기업을 매칭 지원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정부는 2022년까지 선진국 대비 90% 이상 수준의 빅데이터 기술을 확보하기로 했다. 향후 5년 동안 청년인 재와 실무인력 중심으로 5만 명의 전문인력을 양성한다. 데이터 강소기업 100개를 육성하고 글로벌 정보통신기술 혁신 클러스터를 통해 스타트업을 집중적으로 지원한다.
데이터산업 활성화를 통해 2022년까지 국내 데이터시장은 10조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15만 명의 데이터 전문인력을 확충하고 기업 빅데이터 이용률은 20%까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