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건설사들이 북한 인프라사업뿐 아니라 산업단지와 지역 개발사업 등에서도 기회를 잡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이광수 미래에셋대우 연구원은 15일 “남북 경제협력사업은 한국 건설사에게 새 시장의 확대를 의미한다”며 “인프라뿐 아니라 산업도시 개발사업에도 적극적으로 참여가 가능하다”고 내다봤다.
남북 경제협력사업에서 인프라 투자가 핵심이라고 이 연구원은 봤다.
문재인 대통령은 남북 정상회담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에게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을 담은 이동식저장소(USB)를 전하며 남북 경제협력사업 이행을 위한 공동 조사연구가 시작되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북한의 도로사정이 열악하다는 점과 평창 고속열차가 좋다는 점을 언급했는데 남북 정상회담이 도로와 열차 등의 투자 확대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고속철도와 관련한 주요 투자 프로젝트 규모는 57조 원가량으로 파악된다. 판문점 선언에서 경의선과 동해선을 만들기로 이미 두 정상은 합의했다.
정부가 추진하려는 비무장지대(DMZ) 개발사업도 탄력을 받을 수 있다. 정부는 비무장지대를 평화생태공원 등으로 개발해 관광산업을 활성화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 연구원은 북한 내수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 발전소 투자도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 북한의 발전설비 용량은 남한의 8.8%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발전량이 부족해 각종 산업에 필요한 설비의 가동률이 낮은 상황이라 발전소 투자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북한 산업단지 조성사업과 지역 개발사업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이 연구원은 바라봤다.
남한은 노동력과 저렴한 토지를 확보할 수 있고 북한은 고용 창출과 경제성장을 노릴 수 있다. 개성공단 모델을 기반으로 사업이 논의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