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 들어온 지 1년도 채 되지 않은 궐련형 전자담배가 국내 담배시장의 판도를 바꾸고 있다.
출시 초반 흡연자들의 호기심을 끌었던 데 그치지 않고 국내 전체 담배시장의 10%에 이를 만큼 존재감을 빠르게 키워가고 있다.
▲ KT&G가 내놓은 궐련형 전자담배 '릴'. |
13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올해 1월 기준 전체 담배시장에서 궐련형 전자담배의 점유율은 9.1%로 집계됐다. 반면 일반담배 판매량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지난해 우리나라 담배 판매량은 모두 35억2천만 갑으로 전년보다 4%가량 줄었다. 하지만 지난해 5월 첫 등장한 궐련형 전자담배는 8개월이 채 안되는 기간에 8천만 갑이 팔렸다.
업계 관계자들은 현재 판매 증가속도와 늘어나는 유통망 등을 고려하면 몇 년 안에 전체 담배시장의 20%를 궐련형 전자담배가 차지할 것으로 보고 있다.
김태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하반기로 갈수록 궐련형 전자담배의 시장 경쟁력이 확대될 여지가 크다”며 “국내 담배시장에서 궐련형 전자담배 비중이 올해 10%, 2019년과 2020년에는 각각 20%, 30%로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시장이 커지면서 경쟁도 치열해져 각 제조회사에서 다양한 기기와 전용스틱 등을 내놓는 점도 시장 확대에 일조하고 있다.
BAT코리아가 내놓은 궐련형 전자담배 ‘글로’에 들어가는 전용스틱 ‘네오’의 종류는 브라이트 토바코, 프레시 믹스, 제스트 믹스, 루비 프레시, 퍼플 프레시, 스무스 프레시 등 모두 6가지에 이른다.
필립모리스코리아의 ‘아이코스’에 들어가는 ‘히츠’ 역시 히츠 실버, 엠버, 그린, 블루, 퍼플 등 5가지이며 KT&G의 ‘릴’에 들어가는 ‘핏’도 기존 2종에서 최근 4종으로 늘었다.
각 회사들은 조만간 기존 기기의 단점을 보완한 업그레이드 모델을 새로 내놓는다. 이미 기기의 색상을 바꾼 한정판 등을 내놓으며 시장 공략에 힘쓰고 있다.
그러나 일반담배와 비교해 덜 해로운지를 놓고 아직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는 점은 시장 확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궐련형 전자담배의 유해성을 두고 상반되는 연구결과가 계속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독일 연방 농림식품부 소속 독일연방위해평가원이 궐련형 전자담배의 배출 물질을 연구한 결과 궐련형 전자담배는 일반담배보다 주요 발암물질인 알데히드는 80~95%, 휘발성 유기 화합물은 97~99% 적게 배출한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일본과 중국에서도 궐련형 전자담배가 일반담배보다 덜 해롭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반면 지난해 11월 스위스 산업보건연구소 연구진은 아이코스가 제조사의 주장보다 많은 양의 유해물질을 배출한다고 주장했다.
미국에서 아이코스가 혈관에 해롭기는 일반담배와 마찬가지라는 동물실험 결과도 나왔다.
대한금연학회는 궐련형 전자담배라는 명칭이 일반인에게 건강에 덜 해로울 것이라는 오해를 부를 소지가 있다며 이름을 가열담배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아직 공인된 연구기관의 연구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궐련형 전자담배 사용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지난해 8월 궐련형 전자담배의 유해성 연구를 실시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조만간 연구결과가 발표될 것으로 전해진다.
최근 보건복지부가 12월부터 궐련형 전자담배에 일반담배와 같이 질병과 관련된 경고그림을 넣기로 한 점 역시 판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반담배에 경고그림이 들어가도록 하는 제도는 2016년 도입됐다. 궐련형 전자담배는 유해성이 충분히 검증되지 않아 경고그림을 강제로 부착하도록 의무화한 나라가 없다. 그동안 궐련형 전자담배에는 액상형 전자담배에 표기되는 그림과 같은 주사기 그림 1종만 쓰이고 있다
정부의 규제, 매년 기기를 교체해야 하는 비용적 부담 등에 대한 소비자들의 저항도 시장 확대의 변수가 될 수 있다.
실제 궐련형 전자담배의 수명은 1년 안팎이다. 1년쯤 되면 배터리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1년마다 최대 9만7천 원에 이르는 기기를 다시 사야하는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