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과산업  전자·전기·정보통신

LG전자, 미국 정부에 G3 공급 가능성 열어

백설희 기자 ssul20@businesspost.co.kr 2014-12-08 15:17:15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LG전자의 전략 스마트폰 G3가 미국정부의 보안인증을 통과했다.

LG전자는 전략 스마트폰 G3가 최근 미국 국가안전보장국(NSA) 산하 국가정보보증협회(NIAP)가 심사하는 보안인증을 통과했다고 8일 밝혔다.

  LG전자,  미국 정부에 G3 공급 가능성 열어  
▲ 조준호 LG전자 MC사업본부 사장
국가정보보증협회(NIAP)는 미국 국방부 산하기관과 기타 정부기관들에 납품하는 스마트폰의 보안규격을 인증하는 기관이다. 미국정부의 기밀정보를 취급하는 단말기는 반드시 이 기관의 검증을 거치도록 돼 있다.

LG전자의 G3는 ‘노크코드’ 기능과 ‘킬 스위치’ 기능 등을 탑재해 보안성을 높였다.

‘노크코드’ 기능은 화면을 두드리는 것만으로 스마트폰의 전원을 켜거나 끌 수 있었던 ‘노크온’의 기능에 ‘잠금코드’라는 보안기능을 더한 것이다. 화면을 터치하는 동작이 ‘잠금코드’가 된다.

화면을 네 부분으로 나눠서 최소 3자리에서 최대 8자리까지 설정하는 게 가능하다. 조합해서 만들어지는 경우의 수는 8만6천 개가 넘기 때문에 아무렇게나 눌러서 우연히 일치할 확률은 매우 낮다.

정확히 어느 지점을 몇 번이나 터치했는지 파악하기가 힘들어 도용이 힘들다는 장점이 있다.

‘킬 스위치’라는 기능은 스마트폰 분실시 유용한 기능이다. 스마트폰을 잃어버렸을 때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원격으로 LG클라우드 서버에 백업한 뒤 스마트폰에 있는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LG전자는 이번 인증 획득으로 보안성을 인정받아 미국 연방정부 산하 각 기관에 G3를 공급할 수 있는 자격을 얻었다.

이연모 LG전자 MC사업본부 북미영업담당 전무는 "LG 스마트폰이 뛰어난 보안성을 인정받았기 때문에 앞으로 북미시장 공략이 보다 탄력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백설희 기자]

비즈니스피플배너

인기기사

포스코퓨처엠 양극재 매출 승승장구, 김준형 밸류체인 확장도 종횡무진 류근영 기자
엔씨소프트 회심의 역작 '쓰론앤리버티', 서구 게이머 초기 반응은 기대이하 조충희 기자
셀트리온도 뛰어든 마이크로바이옴 시장 경쟁, 국내 첫 신약개발은 누구 임한솔 기자
애플 확장현실 기기 출시 임박, 삼성 SK 메모리사업 반등 속도 높아진다 김바램 기자
인공지능 열풍에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반도체 수혜, 파운드리는 TSMC '독식' 김용원 기자
소니 'MS-블리자드 인수합병 반대' 이유 있었다, 클라우드게임에 미래 걸려 김용원 기자
남양유업 자금 바닥 보여 유상증자 나서, 주식 소송 대법원 판결이 분수령 이호영 기자
쿠팡플레이에도 밀리는 티빙과 웨이브, 합병설만 나오고 왜 안 합치나 윤인선 기자
백설공주에 히스패닉계 배우, 디즈니는 왜 ‘정치적 올바름 논란’ 만드나 윤인선 기자
하이브 음악에 AI기술 융합 시도, 방시혁 엔터업계 선도자 위치 다지기 임민규 기자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