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마스 바흐(오른쪽) 국제올림픽위원장이 1월30일 오전 인천국제공항으로 입국해 이희범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장과 기자들을 만나기 위해 귀빈실을 나서고 있다.<뉴시스>
평창동계올림픽이 9일 시작한다. `1988년 열린 서울올림픽에 이어 30년 만에 우리나라에서 열리는 올림픽인 만큼 경제효과를 두고도 장밋빛 전망이 속속 쏟아지고 있다.
그러나 보고서마다 예측하는 경제효과가 제각각이다. 올림픽의 경제효과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어려운 데다 경제효과를 평가하는 방식과 기준도 다양하기 때문이다.
대규모 투자가 수반되는 행사인 만큼 투자 근거를 만들기 위해 경제효과가 부풀려 추정하는 경향도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 경제효과 최대 65조 원? 7년 전 보고서 전망치
4일 업계에 따르면 9일 개막하는 평창동계올림픽 개최로 관광객 증가뿐만 아니라 국가 브랜드 제고, 수출 증가 효과까지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경제효과가 최대 65조 원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1월 말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서 “경제효과가 65조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는 평창동계올림픽은 우리 경제가 침체의 늪에서 벗어나 일대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추 대표뿐만 아니라 다양한 곳에서 올림픽의 경제효과가 65조 원에 이를 것이라는 현대경제연구원의 보고서를 인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보고서는 2018년 동계올림픽 개최지로 평창이 확정된 2011년에 나온 보고서로 무려 7년이나 됐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011년 7월 ‘평창동계올림픽 개최의 경제적 효과’라는 보고서를 통해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더하면 10년 동안 64조9천억 원의 경제효과를 볼 것이라고 내다봤다.
올림픽에 필요한 설비 투자가 16조4천억 원, 관광객 유치와 입장권 등이 4조7천억 원으로 직접효과는 모두 21조1천억 원에 이를 것이라고 분석했다.
간접효과는 무려 43조8천억 원에 이를 것이라고 봤다. 올림픽이 끝나고도 평창을 찾는 관광객이 늘어 앞으로 10년 동안 관광수익이 32조 원이 넘고 국가 이미지 제고에 따른 수출 증가 등으로 11조6천억 원의 경제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7년의 시차가 있는 만큼 보고서에 이용된 근거 등이 현실과 동떨어져 있을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해당 보고서에서 참고한 평창의 연간 관광객 수는 2009년 수치다. 또 내국인의 1회 평균 국내여행 비용은 2008년 수치를 참고로 했다.
평창동계올림픽 이후 외국인 관광객이 크게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 역시 근거가 부실하다. 부산아시안게임과 한일월드컵이 동시에 열린 2002년의 관광수익은 59억 달러 수준에 그쳤다. 외환위기 이후 환율이 치솟았던 1999년의 68억 달러에도 한창 못 미치는 수준이다.
간접효과를 분석하는 과정은 더욱 추상적이다.
이 보고서는 “글로벌 기업이 브랜드 인지도를 1%포인트 올리는데 필요한 마케팅비용이 1억 달러”라며 “우리 경제의 주축을 이루는 100대 기업의 브랜드 인지도를 1%포인트 올리는 데 드는 비용이 100억 달러이므로 평창동계올림픽으로 국가 브랜드 인지도가 1% 올라간다고 가정할 때 경제효과가 100억 달러에 이른다”고 바라봤다.
이 보고서는 올림픽 투자비용을 7조2555억 원으로 예측했으나 실제 투자비용은 14조2천억 원으로 2배가량 뛰었다.
◆ 대규모 투자 근거 마련 위해 경제효과 부풀려야
다른 보고서들이 내놓은 경제효과 역시 수치가 제각각이다.
▲ 평창동계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경기가 열릴 강원 강릉시 강릉올림픽파크(강릉코스탈클러스터) 내 강릉스피드스케이팅경기장(강릉오발).
이희범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장은 2016년 11월 한국경영자총협회가 개최한 경총포럼에서 이번 올림픽의 경제효과가 10년 동안 32조2천억 원에 이를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았다. 외국인 40만 명, 내국이 220만 명이 평창을 다녀가면서 이들에게 강원도의 아름다운 풍광과 관광자원을 세계에 알릴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앞서 2008년 산업연구원은 20조5천억 원 상당의 총생산이 유발될 것으로 예측하기도 했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에서 올림픽을 두고 다양한 보고서가 나오지만 비용은 축소되고 효과는 과장된다는 주장도 있다. 주최국에서 보고서들이 주로 나오다 보니 대규모 투자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경제효과 부풀리기가 필연적으로 나타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영국 옥스퍼드대학 사이드경영대학원의 연구진들이 2016년 30개의 올림픽을 분석한 결과 실제 개최비용을 당초 예상한 범위 내로 맞춘 대회는 단 하나도 없었다. 특히 전체의 절반이 목표치를 100% 이상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이들은 밝혔다,
물론 실제 올림픽의 경제효과는 아예 없지는 않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 따르면 1988년 서울올림픽의 성공을 바탕으로 우리나라는 그해 최초로 연간 무역규모가 1천억 달러를 돌파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1950년 이후 동계올림픽을 개최한 10개국의 올림픽 전후 수출과 수입, 총 교역량을 분석했는데 개최국의 수출과 총 교역량은 동계올림픽 이전보다 각각 23.5%, 30.9%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동계올림픽의 경우 하계올림픽과 비교해 주로 선진국에서 개최됐던 만큼 이미지 상승에 더욱 역할이 크다. 동계올림픽이 아시아에서 열리는 건 일본에 이어 한국이 두 번째다.
◆ 적자올림픽과 ‘하얀 코끼리’ 우려도
평창동계올림픽에 14조 원 이상이 투자된 만큼 적자올림픽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포브스는 1월 평창동계올림픽이 적자올림픽이 될 수도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포브스는 저조한 티켓 판매율, 인구가 4만 명에 그치는 평창의 규모, 유럽과 미국보다 열악한 겨울스포츠 여건을 이유로 들었다.
포브스는 “유럽과 미국의 스키나 스노보드 애호가들이 겨울스포츠를 즐기려고 아시아까지 오지 않을 것으로 관광 전문가는 보고 있다”고 전했다.
평창동계올림픽의 주요 경기장과 시설물이 ‘하얀 코끼리’로 전락하는 것 아니냐는 얘기도 나온다. 하얀 코끼리는 돈이 많이 들고 겉보기엔 훌륭하지만 유지비용이 많이 들고 쓸모없는 스포츠시설을 빗댄 표현이다.
구닐라 린드버그 평창동계올림픽 조정위원장 지난해 9월 “현재 몇몇 경기장의 시설 활용계획이 마련돼 있지 않다”며 “우리는 평창에 하얀 코끼리가 남길 바라지 않는다”고 말하기도 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