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올해 메모리반도체사업에서 불안한 시선을 계속 받고 있다.
메모리반도체 최대 수요처였던 스마트폰시장 침체가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 김기남 삼성전자 DS부문 사장(왼쪽)과 박성욱 SK하이닉스 부회장. |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서버분야에 사용되는 고용량 D램과 낸드플래시 중심으로 사업체질을 전환하며 수익중심 전략을 강화해 대응할 것으로 보인다.
26일 시장조사기관 D램익스체인지 홈페이지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올해 모바일D램과 낸드플래시 평균가격이 모두 약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글로벌 대형 스마트폰업체들이 지난해 이어진 판매부진 영향으로 메모리반도체 재고가 늘어나자 올해 반도체 수요를 줄이고 가격도 낮춰 물량을 받으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D램익스체인지는 “반도체 수요 감소는 공급업체와 고객사 사이 가격협상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며 “수익성 확보가 다급해진 제조사들이 반도체의 원가 절감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상반기까지 D램 수요 감소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하반기부터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반도체 공장 증설효과가 나타나며 업황에 더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유종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스마트폰업체들은 지난해 반도체 가격 상승분을 제품 판매가격에 반영해왔다”며 “하지만 고가 스마트폰 수요 부진으로 올해는 가격을 높이기 어려워지며 반도체 탑재량도 줄어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메모리반도체 최대 매출처로 실적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런 전망이 현실화될 경우 올해 타격을 피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명영 SK하이닉스 경영지원담당 부사장도 26일 컨퍼런스콜에서 “스마트폰 고객사들이 반도체 가격 상승을 더 받아들일 여력이 크지 않다”며 시장상황이 어려워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PC용 D램과 낸드플래시 저장장치 수요도 꾸준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인텔 CPU에서 보안결함과 성능 저하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PC 교체수요가 올해 더욱 줄어들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반면 글로벌 IT기업들의 데이터센터 투자가 활발해지며 서버용 반도체 수요의 전망은 갈수록 밝아지고 있다.
이순학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모바일반도체 수요에 부정적 상황이 이어지고 있지만 인공지능과 클라우드 서버용 반도체가 이를 대체하고 있다”며 “고성능 D램 등 서버용 제품이 업황 개선을 이끌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서버용 D램의 경우 최대 32기가, SSD용 낸드플래시는 4테라바이트 용량의 고성능 메모리가 탑재된다. 스마트폰에 사용되는 제품과 비교해 탑재량이 많고 수익성이 좋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서버용 반도체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경우 스마트폰용 메모리 공급 감소에 따른 악영향을 효과적으로 만회할 수 있다.
▲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서버용 메모리반도체 라인업. |
하지만 모바일 D램과 낸드플래시 생산라인을 서버용으로 전환하는 데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들고 고용량 제품일수록 수율확보가 쉽지 않다는 것이 약점으로 꼽힌다.
특히 SK하이닉스의 경우 서버용 SSD분야에서 점유율이 아직 낮아 이른 시일에 모바일분야에서 받는 타격을 만회할 만큼의 실적을 낼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지난해도 서버용 메모리반도체 생산비중을 늘리는 전환투자에 막대한 노력을 들였는데 서버시장에 갈수록 의존이 높아지는 것도 부담이 커질 수 있다.
하지만 메모리반도체 수요 감소에 뚜렷한 대안이 없는 상황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올해 서버용 반도체 중심으로 라인업을 재편하는 적극적 체질 변화를 추진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 부사장은 SK하이닉스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서버용 반도체 비중을 늘리며 최신 공정 적용도 확대해 고객사 수요변화에 대응하겠다”며 “SSD시장 공략도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