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은 대통령직 인수위조차 없이 출범한 문재인 정부가 제대로 된 시스템을 갖춘 채 국정운영에 나서는 사실상의 원년이다. 문 대통령은 소득주도 성장을 국정철학으로 내걸고 우리경제의 체질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데 본격적 드라이브를 걸 것으로 예상된다. 어느 해보다 많은 변화의 바람이 불어닥칠 새해 대한민국 경제를 이끌 주요 기업과 기업인의 최대 현안을 조망해 본다. <편집자 주> [1] 착한경영 윤리경영만이 살 길 [2] 오너리스크, 지배구조, 세대교체 [3] 혁신성장, 인수합병, 신사업 [4] 위기는 기회다 [5] 금융지주 지배구조와 금융개혁, 금융시장 변화 [6] 2018년 빛낼 CEO, 이들을 주목한다 <끝> |
<저작권자(c) 비즈니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임주연 성현모 기자의 다른기사보기JW중외제약 이종호 '바보' 말 들으며 수액 전용공장 짓고, 아들 이경하 AI 접목 신약 개발 도전 |
JW홀딩스 배당 확대로 승계 시동 거나, 이경하 아들 이기환 경영수업 받고 지분 사들이고 |
JW중외제약 최고개발책임자로 유리천장 깬 함은경, 신약 개발과 CEO 가는 길은 하나 |
삼성전자 3분기 메모리반도체 매출 1위 탈환, 4분기도 선두 유지 전망 |
중국 상무부 한화오션 미국 자회사 5곳에 제재, "중국 기업과 거래·협력 제한" |
유엔 '선박 탄소세' 표결 갈등 고조, 미국 "찬성국 제재" 으름장에 유럽 강행 모드 |
LG전자 인도법인 현지 증시 입성, 조주완 "글로벌 사우스 전략 중추적 역할" |
비트코인 시세 단기간에 반등 어려워, 미국 '셧다운'과 중국 리스크 상존 |
삼성전자 성과 연동 주식 보상, 임직원에 3년 동안 자사주 지급 |
브로드컴 오픈AI와 협력은 빅딜 '신호탄', "100억 달러 공급 고객사 또 있어" |
민주당 민병덕 공정거래법 개정안 발의, "MBK 포함 사모펀드도 공시대상기업집단에 포함" |
현대차 중국 맞춤형 전기차 '일렉시오' 출시 임박, 매년 신차 2~3대 출시 예정 |
글로벌 운용사 프랭클린템플턴 "신흥시장 투자 핵심은 한국, 다각화된 성장동력 갖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