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오석 경제부총리가 종교인 과세를 거칠게 몰아붙이고 있다. 정부가 세수난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해묵은 과제인 종교인 과세를 실행에 옮기려 하는 것이다. 하지만 지방선거를 앞둔 정치권이 망설이고 있어 법안 통과가 쉽지 않아 보인다.
![]() |
||
| ▲ 현오석 경제부총리가 26일 종교인 과세 시행 의지를 내보였다 <뉴시스> | ||
국회는 지난해 연말 종교인 소득에 기타소득세 4.4%를 부과하는 소득세법 개정안을 처리하기로 잠정합의했다. 하지만 시행시기와 방법 등을 두고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2월 임시국회에서 법안 처리를 기대했지만 14일 조세소위에서도 종교인 과세에 대해 뚜렷한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내달 초 공청회를 통해 다시 여론을 수렴하겠다는 방침만 확인했다. 기재부는 5월 과세를 목표로 4월 임시국회에서 개정안을 처리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측은 “종교인들도 대부분 과세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종교계의 반발은 계속되고 있다. 한국기독교시민총연합(CCA)은 “종교인 과세에 찬성하는 국회의원과 정당에 대해 낙선운동을 벌이겠다”고 밝혔다.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한 표가 아쉬운 여야로서는 종교인 과세 법안을 처리하는 데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종교인 과세로 인한 추가 세수는 연간 1000억 원도 예상된다. 그러나 200억 원대에 지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연 소득 3000만 원 이하는 과세대상에서 제외되기 때문이다. 정부는 실제 과세 대상은 전체 종교인의 20% 이내일 것으로 보고 있다. 8만 명이 채 되지 않는 규모다.
그러나 조세액이 크지 않더라도 조세 형평성 차원에서 종교인 과세는 필요하다는 게 중론이다. 기독교윤리실천운동이 조사한 결과를 보면 종교인 과세에 찬성하는 비율은 85.9%로 반대 12.2%를 압도했다. 종교지도자들 가운데에도 상당수가 종교인 과세에 원칙적으로 동의하고 있다.
정치권에서 미온적 태도를 보여 처리가 불투명한 종교인 과세에 대해 현 부총리가 도입을 거듭 강조하는 것도 이런 여론에 힘입은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현 부총리가 최근 카드사태 발언 등으로 곤궁한 처지에 있어 이미지 회복 차원에서도 종교인 과세 도입을 계속 주장하고 있다"면서 지금이야말로 정책을 과감히 밀어붙여야 한다"고 주문했다.
<저작권자(c) 비즈니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김디모데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크라운해태홀딩스 이사회 구성 '후진적', 의장 겸직 윤석빈 ESG 평가 낙제점 대응 시급하다 |
| 윤영달 가족회사 '두라푸드'로 크라운해태 승계 끝냈지만, '편법승계' '일감 몰아주기' 주홍글씨 어떻게 |
| 신정훈 해태제과식품 성과로 장인 윤영달 신임 두텁지만, 윤석빈 크라운해태 승계 뒤 위상 주목 |
| 두나무 주식교환 통해 네이버파이낸셜 자회사 된다, 26일 이사회 의결 예상 |
| 한화오션 미국법인 유상증자에 5020억 투입키로, 한화필리조선소 1427억 증자에도 참.. |
| '스타필드 10년' 신세계프라퍼티 그룹 내 존재감 우뚝, 임영록 지역상권까지 싹쓸이 |
| 인도 증시 높은 유동성과 매출 성장률에 기업가치 '프리미엄' 붙어, LG전자 사례 조망 |
| SK스퀘어 새 기업가치 제고계획 발표, "3년 내 순자산가치 할인율 30% 이하" |
| 자산가 유치 전쟁 불 붙인 SC제일은행, 이광희 '글로벌 모델' 이식 승부수 통할까 |
| 오리온 전체 매출 중 41% 중국에서, 2년 연속 천억대 배당 주는 '효자 사업장' |
| 한화그룹 미국서 '한화디펜스앤에너지' 설립, 한화솔루션 자회사 '퓨처프루프' 지분 1... |
| 코스피 개인·외인 매도세에 3840선 약보합 마감, 원/달러환율 1477.1원 마감 |
| 한투운용 ETF 순자산 7배 늘린 배재규 "기술주 장기투자 전략 유효, AI 버블 논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