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오석 경제부총리가 종교인 과세를 거칠게 몰아붙이고 있다. 정부가 세수난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해묵은 과제인 종교인 과세를 실행에 옮기려 하는 것이다. 하지만 지방선거를 앞둔 정치권이 망설이고 있어 법안 통과가 쉽지 않아 보인다.
![]() |
||
▲ 현오석 경제부총리가 26일 종교인 과세 시행 의지를 내보였다 <뉴시스> |
국회는 지난해 연말 종교인 소득에 기타소득세 4.4%를 부과하는 소득세법 개정안을 처리하기로 잠정합의했다. 하지만 시행시기와 방법 등을 두고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2월 임시국회에서 법안 처리를 기대했지만 14일 조세소위에서도 종교인 과세에 대해 뚜렷한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내달 초 공청회를 통해 다시 여론을 수렴하겠다는 방침만 확인했다. 기재부는 5월 과세를 목표로 4월 임시국회에서 개정안을 처리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측은 “종교인들도 대부분 과세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종교계의 반발은 계속되고 있다. 한국기독교시민총연합(CCA)은 “종교인 과세에 찬성하는 국회의원과 정당에 대해 낙선운동을 벌이겠다”고 밝혔다.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한 표가 아쉬운 여야로서는 종교인 과세 법안을 처리하는 데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종교인 과세로 인한 추가 세수는 연간 1000억 원도 예상된다. 그러나 200억 원대에 지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연 소득 3000만 원 이하는 과세대상에서 제외되기 때문이다. 정부는 실제 과세 대상은 전체 종교인의 20% 이내일 것으로 보고 있다. 8만 명이 채 되지 않는 규모다.
그러나 조세액이 크지 않더라도 조세 형평성 차원에서 종교인 과세는 필요하다는 게 중론이다. 기독교윤리실천운동이 조사한 결과를 보면 종교인 과세에 찬성하는 비율은 85.9%로 반대 12.2%를 압도했다. 종교지도자들 가운데에도 상당수가 종교인 과세에 원칙적으로 동의하고 있다.
정치권에서 미온적 태도를 보여 처리가 불투명한 종교인 과세에 대해 현 부총리가 도입을 거듭 강조하는 것도 이런 여론에 힘입은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현 부총리가 최근 카드사태 발언 등으로 곤궁한 처지에 있어 이미지 회복 차원에서도 종교인 과세 도입을 계속 주장하고 있다"면서 지금이야말로 정책을 과감히 밀어붙여야 한다"고 주문했다.
<저작권자(c) 비즈니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김디모데 기자의 다른기사보기신세계I&C 글로벌 경쟁력 확보 숙제, 양윤지 개발자 역할 'AI로 성과 창출 리더' 재정의해 돌파 나서 |
삼성SDS AI 종합기업으로 체질전환 속도, 이준희 내부거래 줄이기보다 외부거래 확대로 |
LGCNS 인도네시아 금융IT 공략 확대, 현신균 기업 컨설팅 경력의 시너지 효과 주목 |
해킹 사태에 고개 숙인 롯데카드 조좌진, "사임 포함한 인적 쇄신 약속한다" |
금감원 직원 1100여명 국회 앞 조직개편 반대 집회, "자리 나눠먹기 위한 해체" |
노동장관 김영훈 "노란봉투법은 중대재해예방에 도움" "구체적 메뉴얼 마련" |
유진투자 "알래스카 LNG 한국에 운송비 절감, 투자기업은 추가수익 확보" |
엔비디아 젠슨 황 "영국 AI 데이터센터 천연가스 필요", 재생에너지 한계 지적 |
코스피 '미국 금리 인하' 힘입어 3460선 상승 마감, 사상 최고치 경신 |
민주당 경제형벌합리화 TF "배임죄 합리화 등 1차 추진과제 9월 안에 발표" |
이재명 리서치센터장 간담회, "이제 '국장복귀는 지능 순'이라는 말 생기도록" |
하반기 MMORPG 대전 '활활', 넷마블 '뱀피르' 초기흥행에 컴투스·엔씨소프트 반격.. |
개인정보보호위 KT 무단 소액결제 개인정보 유출 2차신고 접수 '총 2만30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