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바이오·제약

한화케미칼, 기초소재부문 호조로 태양광부문 부진 만회

박소정 기자 sjpark@businesspost.co.kr 2017-07-17 16:35:39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한화케미칼이 3분기에 기초소재부문의 호조에 힘입어 태양광부문의 부진을 다소 만회할 것으로 예상됐다.

노우호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17일 “한화케미칼이 주력제품인 폴리염화비닐(PVC)와 가성소다 가격상승 덕을 보게 될 것”이라며 “한화케미칼이 3분기에 기초소재부문 영업이익이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화케미칼, 기초소재부문 호조로 태양광부문 부진 만회  
▲ 김창범 한화케미칼 사장.
폴리염화비닐 가격은 올해 3분기에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8% 올랐다. 인도에서 우기가 끝나 공사가 늘어나면서 주거용, 산업용배관 등에 쓰이는 폴리염화비닐 수요가 확대돼 가격이 오른 것으로 풀이된다. 한화케미칼은 전체 폴리염화비닐 수출의 60%를 인도에 판매하고 있다.

가성소다 가격도 전 세계적인 공급량 감소로 3분기에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8% 올랐다. 유럽과 중국 정부들이 환경오염을 막기 위해 가성소다 제조방식에 규제를 강화하겠다는 방침을 세우면서 가성소다의 생산이 줄었다.

한화케미칼은 기초소재부문에서 올해 3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1조633억 원, 영업이익 1716억 원을 낼 것으로 추산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10%, 영업이익은 37% 늘어나는 것이다.

태양광부문은 부진할 것으로 예상됐다.

미국 태양광시장조사업체 PV인사이트에 따르면 태양광모듈의 시장가격은 현재 와트당 33센트 정도다. 이는 한화케미칼의 손익분기점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한화케미칼은 태양광부문에서 올해 3분기 연결기준으로 영업이익 179억을 거둘 것으로 전망됐는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7% 감소하는 것이다.

한화케미칼은 올해 3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2조5026억 원, 영업이익 2022억 원을 낼 것으로 추정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4.9% 늘어나고 영업이익은 1.2% 줄어드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박소정 기자]

최신기사

비트코인 시세 단기간에 반등 어려워, 미국 정부 '셧다운'과 중국 리스크 상존
삼성전자 성과 연동 주식 보상, 임직원에 3년 동안 자사주 지급
브로드컴 오픈AI와 협력은 '신호탄'에 불과, "100억 달러 고객사는 다른 곳"
민주당 민병덕 공정거래법 개정안 발의, "MBK 등 사모펀드 공시대상기업집단에 포함"
현대차 중국 맞춤형 전기차 '일렉시오' 출시 임박, 매년 신차 2~3대 출시 예정
글로벌 운용사 프랭클린템플턴 "신흥시장 투자 핵심은 한국, 다각화된 성장 동력 갖춰"
KT-팔란티어 한국서 최고경영자 회동, 금융·공공 분야 AI전환 사업 협력
HBM 포함 AI 메모리반도체 '전성기 초입' 예고,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청신호
KB증권 "두산에너빌리티 미국서 가스터빈 추가 수주 기대, 8기 이상 공급 협상"
삼성전자 3분기 '깜짝실적' 반도체 부활 신호탄, D램 구조적 업사이클 진입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