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에너지가 자회사 포스코파워에서 추진 중인 삼척 석탄화력발전소를 LNG발전소로 전환할 가능성이 떠오른다.
포스코에너지 관계자는 27일 “문재인 정부가 착공률 10% 미만의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을 취소하겠다는 방침을 세워두고 있다”며 “사흘 앞으로 다가온 포스파워의 공사계획 인·허가 시한이 사실상 의미가 없어졌다”고 말했다.
|
|
|
▲ 윤동준 포스코에너지 대표이사. |
당초 포스코에너지의 자회사인 포스파워는 30일까지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삼척 석탄화력발전소 공사계획 인가를 받으려고 했다.
그런데 문재인 대통령이 신규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을 취소하겠다고 약속한 만큼 산업부가 당장 인가를 해주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포스코에너지는 2014년 포스파워의 지분 100%를 인수한 뒤 인허가를 받기 위해 여러 절차를 진행하면서 모두 6천억 원 정도를 포스파워에 쏟아 부었다. 포스코에너지가 포스파워의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에 힘을 쏟은 만큼 산업부에 승인기한을 연장해달라고 요청할 것으로 업계는 바라본다.
하지만 포스파워가 당초 계획대로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을 계속 추진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포스파워가 계획대로 삼척에 석탄화력발전소로 짓는 작업을 계속 추진한다면 인허가작업이 무기한 지연될 수도 있다. 포스파워는 포스코에너지에 인수된 뒤 2015년 30억 원, 2016년 80억 원의 순손실을 내고 있는데 이런 상태가 지속될 수 있다는 것이다.
산업부는 현재 아직 착공되지 않은 석탄화력발전소를 LNG발전소로 전환하는 방안을 다각도로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LNG발전소는 석탄화력발전소보다 미세먼지배출량이 크게 적어 친환경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산업부가 석탄화력발전소를 LNG발전소로 전환하는 방안을 공식화할 경우 포스파워가 그 대상에 오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된다.
포스파워는 아직 산업통상자원부로 공사계획 인가를 받지 못한 만큼 착공은 물론 화력발전 관련 주설비 공급 본계약도 맺지 않았다. 석탄화력발전소를 LNG발전소로 전환해 지어도 다른 신규 석탄화력발전소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매몰비용이 적다.
포스파워가 삼척지역에 들어서는 점도 LNG발전소로 전환하는 데 비교적 유리한 요인으로 보인다. 포스파워와 한국가스공사의 LNG인수기지가 같은 지역에 있어 시너지를 낼 수도 있다.
한국가스공사는 삼척에 LNG인수기지를 세우고 6월부터 삼척에 세계 최대규모의 LNG저장탱크의 상업운전을 시작했다.
현대산업개발이 통영에 LNG발전소를 건립하기 위해 한국가스공사와 LNG제조시설 협력 양해각서를 맺은 것처럼 포스파워도 한국가스공사와 협력하며 LNG도입 원가를 낮추거나 설비운영의 효율성을 높일 수도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