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력발전소가 불모지인 한국에서도 개화할 수 있을까?
유력 대선후보들이 신재생에너지에 우호적인 정책을 펴겠다는 의지를 보이면서 한국에서도 풍력발전소시장이 확대될 것이라는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
|
|
▲ 안희정 충남지사(왼쪽부터)와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안철수 전 국민의당 공동대표. |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15일 “신재생에너지를 원하는 국민이 늘고 있는 데 따라 차기 정부가 원전과 석탄발전소를 축소하고 재생에너지를 확대하는 정책을 펼 것”이라고 말했다.
야권의 유력 대선후보들은 앞서 석탄화력발전소와 원자력발전소의 비중을 줄이고 신재생에너지발전소 비중을 확대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2월9일 열린 ‘대한민국 바로세우기’ 6차포럼에서 “원전정책을 전면 재검토하고 미세먼지 공기오염의 주범인 석탄화력발전소의 신규건설도 중단할 것”이라며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비중을 전체 발전설비의 30%까지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도 신규 원전과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에 부정적인 입장을 내보이면서 신재생에너지발전소에 정부 지원금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안희정 충남지사와 이재명 성남시장도 신재생에너지발전에 우호적인 정책을 펴기로 했다.
유력 대선후보들이 잇달아 신재생에너지발전소 확대에 의지를 내보이면서 국내에도 풍력발전소시장이 열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기존의 신재생에너지 지원정책과 차기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되면 국내 풍력발전소시장이 앞으로 1조 원 규모까지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 연구원은 “차기정부가 신새쟁에너지 정책에 힘을 실으면 앞으로 국내 풍력발전소시장이 1조 원 규모에 이르는 연간 500MW급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내 풍력발전소시장의 규모는 지난해 201MW 정도다. 미국의 풍력발전소시장 규모의 2.5% 정도에 그치는 것이다.
정부는 지난해 말 풍력발전소 등 신재생에너지시장을 확대하기 위한 정책을 강화했다.
정부는 신재생에너지의무사용비율(RPS)을 2012년 2.0%에서 올해 4.0%까지 높이겠다는 계획을 세워뒀다. 현재 국내의 풍력과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의 설비비중은 전체 발전소 설비에서 3% 정도인데 올해 안에 이 비중을 4%까지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정부는 올해 3월부터 신재생에너지발전 사업자의 수익을 보장하기 위해 ‘재생에너지 판매 고정가격 거래제’ 본격적으로 시행하기로 했다. 이 제도는 발전소가 의무적으로 태양광이나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하거나 혹은 다른 곳에서 생산된 재생에너지를 사오도록 만드는 제도를 말한다.
|
|
|
▲ 경남 거창군 남상면 감악산 풍력발전 지대. |
구매자들은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와 전력도매가격(SMP)을 합친 가격에 재생에너지를 구매해야 하며 20년 동안 계약을 유지해야 한다.
유진투자증권은 국내에서 풍력발전소시장이 확대되면 수혜를 입을 기업으로 유니슨과 동국S&C, 태웅 등 3곳을 꼽았다.
한 연구원은 “유니슨과 동국S&C는 미국과 국내에서 풍력발전소사업을 진행하면서 수익을 내고 있는데 국내 풍력발전소시장이 확대되면 이 기업들이 수혜를 입을 것”이라며 “태웅은 글로벌 최대의 풍력단조부품 제조기업인데 앞으로 국내에 풍력발전 관련 부품의 공급을 늘릴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유니슨과 동국S&C는 풍력발전기와 타워, 발전단지를 건설하는 회사다. 유니슨의 전체 매출에서 국내비중은 80% 정도, 동국S&C의 전체매출에서 국내 매출비중은 30% 정도다.
태웅은 제너럴일렉트릭(GE)와 지멘스 등 글로벌 풍력터빈회사에 관련 부품을 공급하면서 수익을 내고 있는데 앞으로 국내 풍력발전소시장이 확대되면 국내기업에도 부품공급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