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정치적인 목적으로 사드보복을 적어도 10월까지 이어갈 것이라는 예상이 나왔다.
홍춘욱 키움증권 연구원은 6일 “중국이 보복을 강화하는 것은 경제 및 외교적인 요인 때문이 아닐 것”이라며 “2012년 10~11월 열린 제18차 당대회 직전에 일본을 향한 제재조치를 실시해 공산당 내 갈등을 봉합했던 것과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해 이번에 한국과 대만을 새로운 공격대상으로 삼은 것”이라고 분석했다.
|
|
|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
홍 연구원은 “올해 10월 열리는 19차 당대회까지는 중국의 태도가 변화하기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국이 나라의 상징적인 행사를 앞두고 ‘외부의 적‘에 집중하는 여론을 형성해 내부의 단결을 꾀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중국은 일본과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를 두고 지속적으로 영토분쟁을 벌이다 일본이 2012년 9월 센카쿠 열도를 국유화하자 중국인의 일본관광을 제한하는 등 경제보복을 실시했다.
홍 연구원은 “이미 2010년부터 센카쿠 열도를 둘러싸고 중국과 일본의 갈등은 수위가 높아지고 있었다”며 “당대회 직전에 제재를 실시한 것은 중국의 정치구도와 연관이 있다”고 파악했다.
중국의 보복이 이어질 경우 중국인 관광객 감소에 따라 한국 내수경기에 타격이 있을 수 있지만 수출에는 큰 타격은 없을 것으로 전망됐다.
홍 연구원은 “한국의 중국 수출에서 중간재와 자본재의 비중이 93%인 반면 소비재는 7%에 불과하다”며 “대중국 소비재 수출이 연간 30%가량 급감한다고 해도 전체 중국수출 감소폭은 2%에 그친다”고 분석했다.
중국이 앞으로 한국으로부터 중간재와 자본재의 수입량을 급격하게 줄이기 어려울 것으로 점쳐졌다. 중국이 받을 타격이 크기 때문이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의 지난해 전 세계에서 모두 1조5228억 달러어치를 수입했는데 이 가운데 한국이 10.4%를 차지해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홍 연구원은 “중국이 한국산 제품을 선호한 이유는 한국이 중국에 품질좋은 중간재와 자본재를 적기에 공급했기 때문”이라며 “한국과 교역량을 줄이겠다는 것은 스스로 수출제품의 경쟁력을 파괴하겠다는 의미밖에 안된다”고 진단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헌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