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18일 이웅열 코오롱회장이 6명의 마오나오션리조트 체육관 붕괴사고 사망자가 안치된 울산 북구 21세기 좋은병원 장례식장에서 사죄를 하고 조문하고 있다.<뉴시스 제공> |
‘MB정권 특혜기업’으로 지목돼 한껏 몸을 낮추고 있던 이웅열 코오롱그룹 회장이 고개를 더 깊게 숙이고 있다. 코오롱이 운영하는 경주 마우나오션 리조트에서 붕괴사고가 대학생 등 10명이 목숨을 잃는 ‘대형 돌발참사’가 터진 탓이다. 이 회장은 당장 사죄를 하고 수습에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박근혜 대통령의 불호령이 떨어지는 등 이번 사고로 입을 상처가 클 것으로 보인다.
이 회장은 붕괴사고가 일어나자 18일 새벽 6시 곧바로 현장을 찾아 "이번 사고로 고귀한 생명을 잃은 고인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 분들에게 엎드려 사죄 드린다"며 할 수 있는 최대의 사죄를 했다.
그는 “특히 대학 생활을 앞둔 젊은이들이 꿈을 피우기도 전에 유명을 달리하게 된 데에 무거운 책임을 느끼며, 소중한 분들을 잃게 되어 비통함에 빠진 모든 분들께 깊은 사죄의 말씀을 올린다”고 거듭 말했다. 그는 “이번 사고로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치게 된 점에 대해서도 책임을 통감한다”며 “코오롱은 사고대책본부를 설치해 신속한 사고 수습을 위해 만전을 기하고 사고 원인 규명에 한 점의 부족함이 없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약속했다.
사고가 나자 코오롱그룹은 곧바로 사고대책본부를 과천 본사와 경주 현지에 설치했다. 안병덕 코오롱 대표를 중심으로 긴급대책본부를 마련하고 경주에 직원들을 급파해 사고 수습에 들어갔다.
이 회장의 이런 대처는 이번 사고가 만만찮은 후폭풍을 낳을 수 있다는 우려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당장 박근혜 대통령이 사고원인에 대한 철저한 수사를 지시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경주 마우나 오션 리조트의 체육관 붕괴로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해서 너무 가슴 아프고 안타까운 마음"이라며 "희생자 유족들께 심심한 위로의 말씀을 드리면서 부상자 치료, 장례 보상 등에 만전을 기해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그는 "시설 기준 준수, 제설 등 안전조치, 대피시스템 등 사고의 근원적 재발 방지를 위한 개선책을 마련해주기 바란다"며 "신학기를 앞두고 신입생 환영회 등 많은 행사가 예상이 되니 학생 집단연수에 대한 안전 긴급 점검을 실시해 달라"고 주문했다.
‘안전’은 박 대통령의 대선 슬로건 가운데 하나다. 박 대통령은 “더 안전한 국민행복시대를 만들겠습니다”고 약속했다. 박근혜 정부 들어 부처 이름을 ‘행정안전부’에서 ‘안전행정부’로 바꾸기도 했다. 박 대통령은 올해 국정과제로 안전을 천명했다.
또 유정복 안전행정부 장관은 지난 14일 업무보고에서 “ “긴급 차량이 신속하게 현장에서 도착할 수 있게 하는 ‘생명을 구하는 골든 타임제’를 도입하겠다고 밝히는 등 여러 안전대책을 쏟아냈다. 하지만 꼭 4일 만에 이번 대형참사가 터지고 말았다. 또 사고 발생 후 안전행정부와 소방방재청은 사고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사고 현장에 소방차 접근도 여의치 않는 등 우왕좌왕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이에 앞서 17일 오후 9시15분경 코오롱 경주 마우나리조트 강당에서 부산외대 학생들이 신입생 환영회 및 오리엔테이션 행사를 하던 중 샌드위치 패널 구조 강당이 붕괴되는 사고가 일어났다. 이 사고로 10명이 숨지고 수백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경찰은 조립식 샌드위치 패널구조로 이루어진 강당이 폭설로 쌓인 눈의 무게를 이기지 못해 무너진 것으로 보고 정확한 사고원인을 조사중이다.
사고가 난 마우나오션 리조트는 코오롱 계열사인 마우나오션개발이 운영하고 있다. 마우나오션개발 지분은 (주)코오롱이 50%를 보유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이 회장과 이동찬 코오롱 명예회장이 각각 24%, 26%씩 소유하고 있다.
마우나오션개발은 1973년 설립됐으며 회원제 골프장 영업과 콘도미니엄 운영, 코오롱호텔 운영사업과 빌딩 경영관리사업을 하고 있다. 지난 2012년 매출 646억원, 영업이익 277억원을 올렸다.
코오롱그룹은 이명박 정부의 대표적인 특혜기업으로 꼽힌다. 이런 탓에 이 회장은 박근혜 정부 들어 박 대통령의 코드에 최대한 맞추는 등 몸을 낮춰 왔다. 지난해 골목상권 침해 논란이 빚자 빵집 프랜차이즈 사업을 정리한 것이 대표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