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전자·전기·정보통신

삼성전자, 반도체 담합으로 EU로부터 470억 과징금

이민재 기자 betterfree@businesspost.co.kr 2014-09-04 12:24:45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삼성전자가 유럽에서 반도체 가격 담합에 참여한 사실이 적발돼 과징금을 물게 됐다.

삼성전자가 유럽연합(EU)의 반독점법을 위반해 당국으로부터 3510만 유로(약 470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 받았다고 3일 블룸버그 등 외신들이 보도했다.

  삼성전자, 반도체 담합으로 EU로부터 470억 과징금  
▲ 호아킨 알무니아 EU 경쟁담당 집행위원
EU는 삼성전자와 함께 독일의 인피니온테크놀로지AG와 네덜란드의 필립스가 담합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이들이 가격을 담합한 제품은 휴대전화의 유심칩으로 활용되거나 신용카드, 여권 등에 들어가는 마이크로칩이다.

EU가 이들 세 개 기업에 부과한 과징금은 총 1억3800만 유로(약 1847억 원)다. 인피니온은 가장 많은 8280만 유로를 물게 됐고 필립스는 2010만 유로를 부과 받았다.

일본 반도체 기업인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도 담합에 참여했기에 당초 5100만 유로의 과징금이 부과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담합을 벌여도 1순위로 자신신고를 하면 사면해주는 ‘리니언시’ 제도를 이용해 과징금 부과를 피하게 됐다.

EU 조사결과 삼성전자 등은 칩 가격 정보를 사전에 교환하며 공급가격을 올린 것으로 드러났다.

EU 집행위원회(EC)는 성명에서 “독일과 네덜란드, 한국기업이 2003년 9월부터 2005년 9월까지 2년 간 사전 논의를 거쳐 가격을 담합했다”고 밝혔다.

호아킨 알무니아 EU 경쟁담당 집행위원은 “이들이 담합한 마이크로칩은 휴대전화와 카드, 여권 등 디지털 시대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며 “가격담합으로 소비자들이 손해를 입었기 때문에 제재가 불가피하다”라고 말했다.

인피니온은 이메일 성명을 통해 “자체 조사를 벌인 결과 담합했다는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며 “EU 결정에 항소할 준비가 돼 있다”라고 밝혔다.

필립스 역시 인피니온과 마찬가지로 EU 결정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필립스의 경우 반도체사업부를 분사한 이후 더 이상 제품을 생산하지 않고 있지만 과징금을 내야 한다.

삼성전자는 항소를 아직 결정하지 않았고 다만 검토중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독일 DPA통신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EU 조사에 협조해 과징금을 30% 정도 적게 부과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최신기사

비서실장 강훈식 '전략경제협력 특사'로 출국, 중동 찾아 방산·AI 협력 논의
리쥬란 매출 떨어지자 파마리서치 성장 '뚝', 한 품목 올인에서 벗어난 성장 동력 찾기
코스피 '돌아온 외국인 수급' 4170선 상승 마감, 원/달러 환율 장중 1475원 넘겨
LG 3분기 영업이익 4189억 12% 감소, 1~3분기 누적 영업익은 10% 증가
넷마블 내년에도 신작 '물량 공세', '나혼렙:카르마' '이블베인'에 거는 기대 크다
베트남 보조금 축소 법안에 현지 투자기업들 우려 전달, "삼성전자도 포함"
대신증권 초대형IB의 길 이끄는 '원클럽맨' 진승욱, '자본 확충' 과제 이어간다
에이비엘바이오 기술수출로 9조 '대박', 이상훈 '뇌혈관 플랫폼' 확장 여지 있다
AMD 엔비디아에 '2인자' 넘어 라이벌로 입지 키운다, 두자릿수 점유율 목표
비트코인 1억5454만 원대 횡보, 미국 셧다운 종료에 가상화폐 ETF 승인 기대감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