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래 기자 klcho@businesspost.co.kr2025-10-21 10:57:57
확대축소
공유하기
[비즈니스포스트] 한국전력공사가 송전망 건설사업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파악된다.
21일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박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전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포함된 54건의 송·변전설비 건설사업 가운데 절반이 넘는 30건이 지연되거나 지연이 예상되는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 국전력공사가 송전망 건설사업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파악된다.
사업별로 보면 송전선로 건설사업 29건에서는 지연이 4건, 지연 예상이 10건을 차지했으며 변전소·변환소 건설 사업 25건 중에서는 지연 14건, 지연 예상 2건으로 64%의 비중을 보였다.
한전은 지연 사유로 △주민수용성 부족 및 보상지연 △인허가 및 환경영향평가 절차 장기화 △재생에너지 연계사업 승인 지연 △부지 확보 난항 등을 꼽았다.
이러한 요인들은 단기간에 해소하기 어려운 구조적 문제로 결국 송전망 건설 속도가 정부의 재생에너지 확충 계획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앞으로 국가 산업 발전과 전력 계통 안정성에도 상당한 차질이 우려된다.
한전이 제출한 ‘송전선로 건설계획 대비 지연 현황’에 따르면 500kV(킬로볼트) 규모 직류 전력망인 동해안∼수도권 송전선의 경우 기존 준공 목표는 2019년이었으나 공사가 7∼8년 지연되면서 2026년 말∼2027년 말에야 완공될 것으로 예상된다.
새만금·신안 해상풍력 연계선(345kV)도 2031∼2033년에야 준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정부가 제시한 2030 재생에너지 보급 목표와 시기적으로 맞지 않는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박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재생에너지 확대의 핵심은 전력 계통의 안정성과 공공성인데 송전망이 제때 깔리지 않으면 아무리 발전소를 세워도 전기를 팔아 공급할 수 없다”며 “정부와 한전은 송전망 사업을 국가전략사업으로 격상해 인허가 단축, 공공 참여 확대 등 근본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경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