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정치·사회  정치

정몽준 안철수 대선주자 지지율 여야 1위 유지

강우민 기자 wmk@businesspost.co.kr 2014-02-17 13:58:18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여권에서는 정몽준 의원이, 야권에서는 안철수 의원이 차기 대선주자 지지율에서 각각 1위를 차지했다. 민주당의 지지율은 여전히 안 의원의 새정치연합에 뒤지고 있다.


이런 결과는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대표 이택수)가 17일 발표한 2월 둘째주 주간 정례 정례조사에서 나타났다.


  정몽준 안철수 대선주자 지지율 여야 1위 유지  
▲ 정몽준 의원
여권의 차기 대선주자 지지율 조사에서 6월 지방선거 서울시장 출마 가능성이 점쳐지는 정몽준 새누리당 의원이 14.9%로 5주 연속 선두를 차지했고, 김무성 의원 8.2%, 김문수 경기지사 7.0%, 홍준표 경남지사 4.9%, 오세훈 전 서울시장 4.7%의 순으로 뒤를 이었다.


야권의 차기 대선주자 지지율 조사에서는 안 의원이 24.0%로 1위를 유지했고, 문재인 민주당 의원 13.5%, 박원순 서울시장 10.4%, 손학규 민주당 고문 8.2%, 정동영 민주당 고문 3.0%로 뒤를 따랐다.
이번 조사는 지난 10~14일 닷새 간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2,500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30% •유선전화(70%) 임의번호걸기(RDD) 자동응답 방식으로 실시됐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0%P, 응답률은 5.3%다.


조사에서 안 의원의 신당(새정치신당으로 질문)을 포함해 정당 지지율을 조사한 결과, 새누리당 42.4%, 신당 22.3%, 민주당 16.2%, 통진당 2.2%, 정의당 1.5%였고, ‘지지정당 없다’는 무당파는 13.9%로 나타났다. 안 의원의 신당을 제외할 경우 새누리당이 1주일 전보다 1.0%P 하락한 45.8%, 민주당은 3.3%P 오른 24.4%, 통합진보당 2.4%, 정의당 2.0%였으며 무당파(無黨派)는 20.2%로 집계됐다.


  정몽준 안철수 대선주자 지지율 여야 1위 유지  
▲ 안철수 의원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국정수행 지지율은 거의 변동없이 50%대 중반을 유지했다. 박 대통령의 취임 51주차 국정수행 지지율은 전주대비 0.2%포인트 하락한 56.4%였다. 박 대통령이 '국정수행을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1주일 전 조사 때와 같은 35.0%였다.


박 대통령의 지지율은 리얼미터 조사 기준으로 보면, 올 1월 첫째 주 54.5%로 시작해 넷째 주 53.5%까지 떨어지는 양상을 보이다가 1월 다섯째 주 56.5%로 올랐고, 2월 첫주에는 56.6%를 기록하고 있다. 리얼미터 측은 "국가정보원의 대선개입 의혹사건과 관련해 경찰수사에 외압을 행사한 혐의로 기소됐던 김용판 전 서울지방경찰청장이 1심 재판에서 무죄 판결을 받은 뒤 박 대통령의 지지율도 약세로 출발했으나, 빅토르 안의 러시아 귀화와 관련해 체육계의 부조리 관행을 점검할 것을 지시한 이후 지지율도 소폭 회복세를 보였다”고 말했다.


'한국갤럽'이 지난 14일 발표한 주간 조사 결과에서는 박 대통령의 지지율이 2주 연속 55%를 기록했고, 대통령으로서의 직무수행에 대한 부정적 평가는 34%였다. 이 조사는 10~13일에 걸쳐 1,208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 RDD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는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8%P, 응답률 15%였다.


 

최신기사

KT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과 업무협약 맺어, 한국적 AI 개발 연구협력
KB·신한·하나·우리 4대 금융 산불 피해 복구에 손길, 특별금융지원 제공
SK브로드밴드, 7월부터 서울시 구로구 초등학교 대상 방과후 교실 운영
GS리테일 현장 중심 인공지능 전환 추진, 고객 불편 생성형 AI로 해결
민주당 박찬대 "광화문 천막당사 설치, 윤석열 파면 위해 광장서 싸울 것"
비트코인 1억2440만 원대 하락, 트럼프 관세정책 불확실성에 상승 제한
여야 3040 의원들 국민연금법 개정안 반대, "청년세대에 부담"
신세계면세점 문체부 장관 표창, 코리아그랜드세일 개최 공로 인정받아
지난해 휘발유 국내 생산·소비 역대 최대, 휘발유 차량 증가가 원인
KB금융, 경남 산청·경북 의성 산불 피해에 10억 성금과 특별 금융지원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