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삼성전자가 ‘성과연동 주식보상’(PSU) 제도가 자사주 소각 회피용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삼성전자는 16일 오후 사내 게시판 공지를 통해 “PSU 제도를 상법 개정에 따른 자사주 소각 의무를 회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시행했다는 루머는 사실과 다르다”고 말했다.
▲ 16일 삼성전자가 사내 게시판 공지를 통해 ‘성과연동 주식보상’(PSU) 제도가 자사주 소각 회피용이라 아니라고 반박했다. <연합뉴스> |
삼성전자는 “이 제도는 주가 상승에 따른 보상 규모를 확대해 임직원과 회사의 성장 가치를 공유하기 위한 취지로 마련됐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14일 3분기 잠정실적 발표하며 향후 3년간 주가 상승 폭에 따라 임직원에게 자사주를 지급하는 PSU를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일각에서는 삼성전자가 자사주 소각을 회피하기 위해 임직원에게 자사주를 지급하는 보상 정책을 마련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삼성전자는 PUS는 임직원 보상으로 공시한 1조6천억 원에서만 사용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9월까지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총 10조 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했다.
8조4천억 원 규모의 자사주는 소각 목적으로, 1조6천억 원 규모의 자사주는 임직원 보상 목적으로 활용하겠다고 공시했다.
삼성전자는 “소각 목적으로 매입한 자사주 가운데 3조 원 규모의 자사주는 소각을 완료했으며, 남은 5조4천억 원 규모의 자사주도 적절한 시점에 소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임직원 보상 목적으로 매입한 1조6천억 원 규모의 자사주는 2027년까지 소진될 예정이어서 2028년 이후 지급될 PSU 자사주는 향후 추가로 매입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