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전자·전기·정보통신

삼성디스플레이 '삼성 OLED IT 서밋' 개최, 'UT 원' 포함 OLED 신기술 소개

김호현 기자 hsmyk@businesspost.co.kr 2025-09-25 15:28:36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비즈니스포스트] 삼성디스플레이가 대만 타이페이 그랜드메이풀 호텔에서 글로벌 파트너사들이 참석하는 ‘삼성 올레드(OLED) IT 서밋 2025’를 개최했다고 25일 밝혔다.

행사에는 인텔을 비롯해 에이서, AOC, 에이수스, 벤큐, 델, 기가바이트, HP, 레노보, MSI, 필립스, 뷰소닉 등 글로벌 고객사들과 파트너사의 관계자 400여 명이 참석했다.
 
삼성디스플레이 '삼성 OLED IT 서밋' 개최, 'UT 원' 포함 OLED 신기술 소개
▲ 삼성디스플레이가 25일 대만 타이페이 그랜드메이플 호텔에서 주요 고객사와 파트너사가 참석한 가운데 '삼성 올레드(OLED) IT 서밋 2025'를 개최했다. <삼성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날 행사에서 20종이 넘는 최신 IT 기술을 선보이며 미래 IT OLED 사업 전략과 비전을 소개했다.

이날 소개된 차세대 저전력 기술로 주목받는 ‘UT One’은 ‘산화물 TFT’ 기술을 적용해 IT OLED 최초로 ‘1헤르츠(Hz) 가변주사율’을 가능케 했다. UT One이 탑재된 노트북은 일반 OLED 패널이 탑재된 제품보다 약 3시간 정도 긴 배터리 사용 시간을 보였다.

또 삼성디스플레이와 인텔이 공동 개발한 소비전력 절감 기술인 ‘스마트파워 HDR’과 가격 경쟁력을 높인 최신 퀀텀닷(QD)-OLED 모니터 라인업을 선보였다.

기조연설을 진행한 이종혁 대형디스플레이사업부장 겸 IT사업팀장 부사장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하나의 기술이 ‘대세’가 되기 위해서는 3가지 조건이 필요하다”며 그 조건으로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경험 제공 △가격과 가치가 균형을 이루는 접근성 △생태계의 구성원들의 굳건한 파트너십을 제시했다.

행사에서 발표에 참여한 관계자들은 OLED의 강점에 관해 설명했다.

톰 래티 돌비 연구소의 PC와 게임 기기 부문 책임자는 발표를 통해 “노트북과 모니터 사용자들이 추구하는 몰입감 넘치는 시각 경험을 위해 트루 블랙, 생생한 색상, 명암비를 갖춘 OLED가 최적의 선택”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래티 책임자는 “삼성디스플레이의 확장된 OLED 포트폴리오가 돌비 비전과 같은 HDR 경험을 더 많은 PC 사용자에게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조 치아오 중국 징둥닷컴 전자사업부 모니터부문 책임자는 “OLED 모니터는 화질 특성이 우수해 프리미엄으로 인식된다”며 “중국 게임산업이 급성장하면서 게이밍 IT 제품에 대한 소비자 관심도 높아지고 있어, OLED 모니터 판매량은 빠르게 증가할 것”이라고 했다.

쿤잘 파리크 인텔 PC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저전력 디스플레이와 관한 토론에서 “디스플레이는 PC 전체 전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해 우리가 집중하는 핵심 분야”라며 “삼성디스플레이와 긴밀한 협력으로 OLED 노트북 배터리 수명을 크게 개선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지난해 노트북과 모니터용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OLED 비중은 3% 수준이었지만, 2029년 13%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올해 상반기 전년 동기 대비 50% 늘어난 490만 대의 노트북과 모니터용 OLED 패널을 출하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이 시장에서 74%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김호현 기자

최신기사

민주유공자법안 공공기관운영법안 포함 4건 패스트트랙 안건 지정, 일부 법안 무효표 논란도
KB금융 생산적금융 전환 이끌 협의회 30일 출범, 의장은 KB증권 대표 김성현
원자력안전위, 부산 고리 원전 2호기 재가동 추후에 다시 논의하기로
[인터뷰] 미래에셋 전략ETF본부장 윤병호 "커버드콜 ETF, 고분배 상품엔 리스크도 ..
윤석열 '체포 방해 혐의' 첫 재판 언론으로 생중계, 보석 심문은 중계 불허
금호석유화학 회장 박찬구 장녀 박주형 자사주 2685주 매입, 지분율 1.09%
기아 노사 임금협상 잠정합의안 도출, 기본급 10만 원 인상에 성과금 450%+1580..
[현장] "'배달앱 수수료 상한제'가 만능 아니다", 플랫폼 규제 놓고 열띤 논의
조국혁신당 이해민 "해킹사고 주요 원인 팸토셀과 무선 기지국 인증 범위 확대해야"
이마트24 소비쿠폰 훈풍에서도 벗어난 이유, 최진일 적자 탈출 '머나먼 길'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