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전국 새마을금고의 절반이 금융당국 부실채권 비율 권고치를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5일 한병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전국 1267개 금고 가운데 623곳(49.2%)가 고정이하여신비율 8%를 초과했다.
▲ 새마을금고 623곳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이 8%를 넘겼다. <연합뉴스> |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전체 대출에서 3개월 이상 연체된 부실채권이 차지하는 비율이다. 금융당국은 8% 이하로 관리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권역별 부실채권 비율을 보면 전북이 15.30%로 가장 높았다. 부산 13.45% 경기 11.95% 대구 11.77% 등이 뒤를 이었다. 전국 평균은 10.73%다.
순고정이하여신비율 9%를 초과한 금고 비율도 전북이 가장 높았다. 전북은 59개 가운데 32개로 54.2%였다. 이외 경기 44.0%(109개 가운데 48개) 부산 40.9%(137개 가운데 56개) 인천(51개 가운데 16개) 31.4% 등이 많았다.
새마을금고는 순고정이하여신비율 9%를 감독기준으로 정하고 있다. 순고정이하여신은 고정이하여신에서 이미 손실 처리된 충당금을 빼서 산출한다.
전국 1267개 새마을금고의 연체액은 15조2124억 원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경기 3조8천억 원, 서울 2조8532억 원, 대구 1조2981억 원 순서다.
전국 평균 연체율은 8.37%다. 이보다 높은 지역은 부산 10.32% 대구 9.76% 전북 9.66% 경기 9.48% 인천 8.79% 등이다.
한병도 의원은 “통합공시시스템 도입이 금고 정상화 첫 단추라면 구조개선은 반드시 끼워야 할 두 번째 단추”라며 “정부·중앙회·개별 금고가 합심해 부실채권 정리에 속도를 내야 예금자 신뢰를 되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조혜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