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원혁 HMM 대표이사가 정부가 추진하는 HMM 본사 부산 이전을 잡음 없이 이뤄낼 수 있을까. <그래픽 비즈니스포스트> |
[비즈니스포스트]
최원혁 HMM 대표이사가 HMM의 부산 이전에 반발하는 내부 분위기를 어떻게 잠재울까?
이재명 정부가 HMM 부산 이전 공약 실행에 속도를 더하고 있다.
HMM의 주주 구조를 살펴보면 산업은행이 36.02%, 한국해양진흥공사가 35.67%를 보유하고 있어 HMM 경영진은 정부와 채권단 입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최원혁 HMM 대표이사로서는 정부에서 강한 의지를 갖고 추진하는 만큼 지방이전 공기업의 사례를 벤치마킹해 반발과 부작용을 줄이는데 역점을 둘 것으로 보인다.
◆ 정부의 HMM 부산 이전 드라이브
이재명 정부 국정기획위원회는 최근 HMM 본사의 부산 이전을 국정과제로 최종 확정하고 내년 상반기 중으로 HMM 본사 이전을 추진한다는 구상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이재명 대통령은 후보시절 HMM 본사의 부산 이전을 핵심공약으로 제시한 바 있다.
이 대통령 후보는 2025년 5월 당시 부산 유세에서 "대한민국의 가장 큰 해운 회사인 HMM을 부산으로 옮겨오도록 하겠다"고 구체적으로 약속하기도 했다.
이재명 정부 핵심 인사가 HMM의 민영화 문제도 당분간 미뤄두겠다는 의지를 밝힌 점도 부산 이전 정책이 지속될 것을 암시하고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후보자 시절인 2025년 6월25일 기자들과 만나서 HMM 민영화와 관련해 "매각만이 유일한 길은 아니다"고 말했다.
◆ HMM의 경영진 선임 절차와 법규로 본 정부의 영향력
정부가 이처럼 적극적으로 부산 이전에 힘을 싣고 있는 상황에서
최원혁 HMM 대표로서는 고민이 깊을 것으로 보인다.
HMM 경영진 선임은 산업은행과 한국해양진흥공사, 공동 파견 자금관리단장, 실사법인 관계자 등으로 구성돼 있는 경영진추천위원회에서 결정되는 구조로 알려져 있어 정부와 채권단의 입김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더구나 이사회에서 부산 이전에 반대의사를 의결하더라도 법적으로 최대주주인 산업은행과 한국해양진흥공사가 이를 무력화 할 수 있다.
상법은 제363조의2에서 이사회는 적법한 주주제안을 받으면 법령과 정관 위반 등 거부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한 반드시 주주총회 안건으로 상정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HMM의 부산 이전 문제는 정관상 본점 소재지 변경으로 주주총회 권한 사항인 만큼 법령상 거부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
김승현 법무법인 선인 변호사는 씨저널과 통화에서 "HMM의 부산 이전 문제는 산업은행과 한국해양진흥공사 등 채권단이 70% 넘는 대주주로서 주주제안을 하고 주주총회를 통해 통과시킬 수도 있다"며 "이사회가 거부하면 법원의 허가를 받아 해결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HMM 부산 이전 관련한 육상노조와 해상노조의 엇갈린 반응과 최원혁의 선택지
HMM 내부에서는 부산 이전과 관련해 엇갈린 반응이 나타나고 있다.
HMM 육상노조는 강경한 반발을 하고 있는 반면 해상노조는 찬성하는 분위기를 보이고 있다.
HMM 육상노조는 2025년 6월4일 입장문을 통해 "상장사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크게 훼손하는 정치폭력을 당장 중단하길 강력히 촉구한다"며 부산 이전에 강력한 반대의사를 표출했다.
반면 HMM 해상노조는 부산 이전에 탄력을 붙이는 모양새다.
전정근 HMM 해상노조 위원장이 더불어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산하 '해운기업본사유치단'에 공동 단장으로 참여했던 것에서 이런 점을 엿볼 수 있다.
근무지가 배 위인 해상선원들의 경우 본사의 위치가 달라져도 근무여건에 차이가 없어 부산 이전에 찬성하는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도 나온다.
최원혁 HMM 대표로서는 정부에서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는 만큼 지방이전 공기업의 과거 사례를 벤치마킹해 내부 반발과 부작용을 줄이는데 역점을 둘 것으로 보인다.
과거 역사에서 HMM과 같은 사기업의 본점을 정부 주도로 지방이전한 사례가 없는 만큼 공기업에서 차용할 경영정책을 찾아볼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과거 정부로 이전된 공기업들은 서울사무소를 두면서 고객관련 업무에 공백이 없도록 부작용을 최소화했고, 사택 마련 등의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내부반발을 줄여왔다.
최원혁 대표가 정부와 임직원 사이 견해차이 속에서 얼마나 잡음을 최소화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조장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