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해리 기자 nmile@businesspost.co.kr2025-09-02 09:46:44
확대축소
공유하기
[비즈니스포스트] 부동산 규제 영향이 4분기부터 본격화하며 대출 증가세가 둔화할 것으로 전망됐다.
은행주는 주택담보대출 위험가중치 하한 상향과 과징금, 교육세 등 다양한 규제 리스크가 불거지면서 투자심리에 부정적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 부동산 규제 영향이 본격화되며 4분기 대출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나민욱 DB증권 연구원은 2일 “대출 신청부터 실행까지 약 2~3개월의 시차가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3분기까지 가계대출 증가세는 이어질 것”이라며 “규제 영향이 본격화하는 4분기 주택담보대출 증가폭은 3분기보다 둔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5대 은행의 합산 기준 월별 가계대출 잔액 증가 폭은 3월 1조8천억 원, 4월 4조5천억 원, 5월 4조2천억 원, 6월 6조8천억 원, 7월 4조1천억 원, 8월 3조9천억 원으로 집계됐다.
정부의 가계 부채 축소 기조와 6.27 부동산 대책, 7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강화 영향이 점차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나 연구원은 “은행은 위험가중치(RWA) 증가 부담이 높아진 만큼 정책자금 대출 등 위험가중자산수익률(RORWA) 관점에서 포트폴리오를 조정하려 할 것”이라며 “최근 과징금 및 교육세, 배상 책임 등 은행권에 대한 규제 리스크가 불거진 만큼 당분간 투자심리에 부정적 영향은 불가피하다”고 내다봤다.
최근 주택담보대출 위험가중치 하한 상향 조정 논의가 본격화하며 은행의 대출 공급 유인이 줄어든 것으로 분석됐다.
위험가중치 하한치를 기존 15%에서 25%로 올릴 때 기존 잔액에도 소급 적용한다면 은행권 보통주 자본비율은 약 10bp(1bp=0.01%포인트) 이상 하락할 것으로 추정된다. 소급 적용이 아닌 신규 대출에만 적용되더라도 위험가중치 부담은 높아진다. 전해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