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정부가 인텔과 지분 인수 계약에 따라 최대 13.3% 지분을 확보할 수 있다. 해당 주식에는 의결권이 있고 매각에는 제한이 없어 인텔 주가에 불확실성을 키울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미국 오리건주에 위치한 인텔 DX1 공장 및 연구개발센터. |
[비즈니스포스트] 미국 정부가 인텔에 자금 지원을 대가로 최대 13.3%에 이르는 지분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더구나 내년부터는 정부에서 해당 지분을 매각할 수 있는 조건도 포함돼 인텔 주가에 불확실성을 더하고 있다.
투자전문지 배런스는 26일 “인텔과 미국 정부의 거래에 불리한 조항이 있다”며 “증권신고서에 명시된 내용이 투자자들에 매우 중요하게 받아들여질 것”이라고 보도했다.
트럼프 정부는 최근 인텔에 반도체 보조금을 제공하는 대가로 지분을 받는 형태의 계약을 맺었다.
인텔은 미국 국방부와 진행하는 특수 프로젝트에 따라 32억 달러(약 4조4500억 원)를 받는다. 정부는 이를 대가로 인텔 주식 약 1억5900만 주를 받는다.
이와 별도로 인텔은 상무부에서 57억 달러(약 7조9300억 원)를 받고 2억7500만 주를 제공한다.
인텔은 해당 주식을 신규 발행하며 미국 정부의 인텔 지분은 약 9%에 이르게 된다.
다만 배런스는 정부와 계약 내용에 인텔의 반도체 제조 사업 지분이 51% 밑으로 떨어진다면 미국 정부가 약 4.3%의 지분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는 조건이 붙었다고 전했다.
결국 미국 정부의 인텔 지분은 최대 13.3%에 이르게 될 수도 있다.
정부가 보유하는 인텔 주식은 의결권을 포함한다. 상무부는 모든 안건에 인텔 이사회와 같은 방향으로 투표하며 경영에 개입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런 약속이 반드시 지켜질지는 미지수다.
배런스는 미국 정부가 인텔 주식을 장기 보유해야 하는 의무가 없다는 점도 지적했다. 1년이 지나는 내년 8월26일부터 정부가 지분을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이러한 매각 관련 불확실성은 인텔 주가에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25일 미국 증시에서 인텔 주가는 전날보다 1.01% 떨어진 24.55달러로 장을 마감했다. 미국 정부가 인텔 지분을 1주당 약 20.74달러에 사들이는 것과 비교하면 프리미엄이 반영되어 있는 셈이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