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2025금융포럼
기업과산업  기업일반

유럽 노후 화력발전소 '빅테크 데이터센터'로 전환, "기존 인프라 활용"

손영호 기자 widsg@businesspost.co.kr 2025-08-05 15:52:25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유럽 노후 화력발전소 '빅테크 데이터센터'로 전환, "기존 인프라 활용"
▲ 빅테크 기업들이 유럽에서 노후 화력발전소를 데이터센터 부지로 전환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사진은 벨기에 생기슬랑에 위치한 구글 데이터센터 냉각수 공급 설비 모습. <연합뉴스>
[비즈니스포스트] 유럽에 있는 노후 화력발전소에 조만간 데이터센터로 들어설 것으로 보인다.

5일(현지시각) 로이터는 마이크로소프트와 아마존 등 주요 빅테크들이 유럽에서 퇴역이 예정된 화력발전소에 데이터센터를 설립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빅테크들은 프랑스 엔지, 독일 RWE, 이탈리아 에넬 등 유럽의 주요 발전사들과 협력해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노후 화력발전소를 데이터센터로 전환하는 것은 신규 데이터센터 부지를 확보해 건설하는 것과 비교해 장점이 더 많다.

가장 큰 장점은 기존에 발전소가 위치해 있던 부지인 만큼 이미 전력망과 냉각수 인프라가 설치돼 있다는 것이다.

바비 홀리스 마이크로소프트 에너지부문 부사장은 "(발전소 부지들은) 이미 물과 열 회수 같은 모든 요소가 갖춰져 있다"며 "유럽의 전력망에 더 빠르게 연결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또 발전소 부지를 데이터센터로 재활용하게 되면 발전사들은 막대한 노후 발전소 폐쇄 비용을 부담하지 않아도 된다.

비영리단체 '화석연료를 넘어서'가 집계한 바에 따르면 유럽연합과 영국 전역에 위치한 153개 화력발전소들 가운데 대다수가 2038년까지 폐쇄된다.

국내 기후단체 기후솔루션이 2023년에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독일에서 1.5GW급 발전소 두 곳을 폐쇄하는 과정에서 들어간 비용은 약 2억2천만 유로(약 2800억 원)로 추산됐다. 153곳을 모두 비슷한 비용에 폐쇄한다고 가정하면 20조 원이 넘게 되는 셈이다.

마이클 크루즈 컨설팅 펌 '아서 디 리틀' 매니징 파트너는 로이터를 통해 "이는 사업 모델 다각화의 일환"이라며 "전력사들이 새로운 유형의 사업과 수익원을 창출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빅테크들도 발전소 부지 전환 사업을 활용하면 발전사들과 지금보다 더 낮은 비용을 지불하는 전력구매계약(PPA)을 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돼 사업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현재 유럽에 진출한 빅테크들은 저탄소 전력 구매 과정에서 높은 비용을 지불하고 있기 때문이다.

프랑스 데이터센터 운영사 OVH에 따르면 빅테크들은 저탄소 전력 구매 과정에서 1MWh당 최대 20유로를 '녹색 프리미엄'으로 지불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로이터는 이를 기반으로 자체 분석한 결과 빅테크들이 녹색 프리미엄으로 지불하는 금액이 매년 최소 수십억 유로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됐다고 전했다.

여기에 유럽 특유의 느린 인허가 과정으로 인해 빅테크들이 데이터센터 설립 과정에서 지불해야 하는 기회비용까지 고려하면 발전소 부지 전환 사업으로 얻을 수 있는 이점이 더 큰 것으로 평가됐다.

샘 헌팅턴 S&P글로벌 커머디티 인사이트 연구 책임자는 로이터 인터뷰에서 "빅테크들은 더 빨리 가동할 수 있는 데이터센터 프로젝트에 얼마든 비용을 지불할 의향이 있다"며 "업계에서 제일 많이 나오는 말은 전력망 연결을 얼마나 빠른 시일 내에 할 수 있냐이다"고 말했다. 손영호 기자

최신기사

삼성전자 정현호 부회장 사업지원TF장 물러나 회장 보좌역으로, 후임은 박학규 사장
한국타이어 3분기 타이어 부문 매출 2.7조, 영업이익 5192억 원 '역대 최대'
[BP금융포럼 in 하노이 에필로그①] 베트남은 여전히 국내 은행에 기회의 땅, 신한 ..
한화 태양광 수직계열화 기대주의 추락, 김동관 REC실리콘 재무위기 고심
SK텔레콤 정재헌 첫 시험대는 해킹사고 수습, 1400억 과징금 행정소송·집단손배소 대..
구글 자체 AI칩 '아이언우드' 출시, '탈 엔비디아' 기류에 삼성·SK하이닉스 HBM..
전기 헬기와 휴머노이드 시장 개화 임박, K배터리 3사 전기차 부진 전고체로 털어낸다
이례적 고온에도 주요국 지도자 기후총회 대거 불참, 기후위기 무관심 속 가속화된다
일론 머스크 급여안 통과로 테슬라 로봇기업 전환 탄력, "옵티머스 연 1억 대 만들 것"
진보당 정부 온실가스감축안 비판, "대기업 특혜안 폐기를, 65% 감축안 마련해야"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