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앞으로 네이버와 카카오뱅크, 토스 등에서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받아 사용할 수 있게 됐다.
행정안전부는 23일 서울 성수동에서 민간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한 모바일 신분증 발급 서비스 시작을 기념하는 행사를 열었다.
▲ 앞으로 네이버와 카카오뱅크, 토스, KB스타뱅킹, NH올원뱅크 등 민간기업 앱에서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받아 사용할 수 있다. 사진은 카카오뱅크의 모바일 신분증 발급 서비스 소개 이미지. <카카오뱅크> |
이 행사에는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박승희 삼성전자 사장, 장준기 네이버 부사장,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이사, 이승건 비바리퍼블리카 대표이사, 송병철 KB국민은행 부행장, 강태영 NH농협은행 행장, 한성민 한국조폐공사 이사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
윤호중 장관은 이날 행사에서 “이번 모바일 신분증 민간 개방을 통해 더욱 혁신적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행정안전부는 보안성이 검증된 민간기업의 앱 등을 활용해 인공지능 시대 필요한 안전한 디지털신분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지금까지 모바일 신분증은 정부에서 운영하는 대한민국 모바일 신분증 앱과 삼성월렛에서만 발급받을 수 있었다.
이번 개방으로 삼성 갤럭시 스마트폰 이용자는 네이버, 카카오뱅크, 토스를 비롯해 KB스타뱅킹, NH올원뱅크 앱에서도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할 수 있게 됐다.
단 아이폰 이용자는 아직 대한민국 모바일 신분증 앱과 카카오뱅크, 토스 앱에서만 신분증을 발급받아 사용할 수 있다.
KB스타뱅킹과 네이버, NH올원뱅크 앱을 통한 서비스는 추후 지원할 예정이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현재 국민 약 670만 명이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받았다. 모바일 신분증은 주민등록증, 외국인등록증, 운전면허증, 국가보훈등록증 등이 있다.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