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BM 반도체 수요가 엔비디아와 AMD 이외에 빅테크 기업들의 맞춤형 ASIC 반도체로 다변화되며 공급 과잉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는 분석이 제시됐다. SK하이닉스가 엔비디아에 공급하는 HBM3E 메모리 전시용 샘플. |
[비즈니스포스트]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에 핵심으로 떠오른 고대역폭 메모리(HBM) 공급 과잉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이는 점차 해소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 마이크론이 HBM 고객사를 엔비디아와 AMD에 이어 빅테크 기업의 맞춤형 반도체로 확대하며 수요 기반을 다양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투자전문지 시킹알파는 23일 “마이크론의 최근 주가 하락은 투자자들이 HBM 시장 성장에 수혜를 보는 매수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시킹알파는 내년부터 HBM 공급 과잉이 벌어질 것이라는 증권사 및 조사기관의 전망이 나오고 있지만 이러한 우려는 다소 과장된 측면이 있다는 테크스톡프로스의 분석을 전했다.
HBM은 엔비디아와 AMD의 인공지능 반도체에 필수로 쓰이는 고사양 메모리다. 현재 최신 규격은 HBM3E로 엔비디아 ‘블랙웰’ 시리즈 등에 사용되고 있다.
내년부터는 차세대 HBM4 규격 반도체 양산이 예정되어 있다.
투자 전문 분석팀 테크스톡프로스는 새 규격 반도체 생산이 공급 과잉 우려를 완화하는 요인이 될 것이라는 관측도 전했다.
HBM 수요가 인공지능 그래픽처리장치(GPU)뿐 아니라 빅테크 기업들의 맞춤형 반도체인 ASIC으로 확대되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 요소로 꼽혔다.
ASIC 반도체는 빅테크 기업들이 자체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또는 슈퍼컴퓨터에 최적화된 사양으로 개발해 활용하는 제품이다.
현재 전체 HBM 수요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0% 안팎으로 추정된다.
테크스톡프로스는 SK하이닉스가 이미 아마존과 구글, 브로드컴에 공급할 HBM 물량을 준비중인 만큼 내년부터 수요 비중이 더 커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
HBM 수요가 엔비디아와 AMD 이외에 다른 기업으로 다변화되며 공급 과잉 우려를 해소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의미다.
테크스톡프로스는 HBM 시장에 공급 과잉 리스크가 완전히 해소되지는 않았다고 지적했다.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 마이크론이 시장 점유율 확대 경쟁을 벌이면서 일시적으로 공급이 수요를 웃도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현재 HBM 수요 상황을 고려한다면 공급 과잉에 관련한 우려는 다소 과장되어 있다는 분석도 이어졌다.
테크스톡프로스는 “모든 업체가 HBM3E 물량 확보를 원하고 있다”며 “이러한 수요는 이제서야 마이크론과 같은 기업의 실적에 반영되고 있는 단계”라고 전했다.
메모리반도체 사업 특성상 업황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만큼 투자자들이 관련 주식을 장기 보유하는 일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권고가 나왔다.
하지만 본격적으로 업황 침체기가 시작되기 전까지는 반도체 기업들의 주가가 충분한 방어 능력을 갖출 것이라는 전망도 제시됐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