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27대책 전후 최고가 거래량 및 거래량 비교. <직방> |
[비즈니스포스트] 정부의 고강도 6·27대책 이후 서울 아파트 거래량 감소와 함께 최고가 거래도 74% 줄었다.
14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서울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6·27 대책 발표 뒤 2주 동안의 최고가 거래량은 300건으로 발표 전 2주 동안 1141건보다 74% 감소했다.
거래량이 급감하며 최고가 거래도 줄어든 것으로 평가된다.
대책 발표 전 2주(6월13일~26일) 거래는 4693건이며 이 가운데 최고가 거래는 1141건으로 전체의 24.3%를 차지했다.
다만 대책 발표 이후 2주(6월27일~7월10일) 1312건 거래 가운데 최고가 거래 비중은 22.9%(300건)를 보였다.
직방은 “거래량 자체가 줄었기 때문에 최고가 거래가 감소한 것은 자연스런 현상”이라며 “다만 최고가 거래는 통상 기존 매수 수요 상승 기대감과 적극적 매입 태도를 반영한다는 점에서 최근 비중 감소는 공격적 매수가 관망세로 돌아서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바라봤다.
지역별로는 마포와 성동, 강동 등 6·27대책 이전 최고가 거래가 많았던 지역에서 눈에 띄게 줄었다.
대책 전 2주 동안 최고가 거래량이 139건으로 가장 많았던 성동구에서는 대책 이후 22건으로 84% 감소했다.
마포구(187건)는 대책 뒤 최고가 거래량이 18건으로 집계되며 87% 가량 줄었다. 강동구에서도 23건으로 약 80% 감소했다.
직방은 "현재 거래 절벽 상황에 대해 일시적 숨 고르기 국면일 수 있다"며 "입지나 개발 기대감이 있는 일부 지역은 규제 여파 뒤 반등할 가능성도 존재한다는 전망이 함께 제기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시장 일각에서는 ‘맛보기 대책’이란 평가와 함께 추가 규제 가능성까지 예고된 만큼 수요자들은 한동안 매수에 더욱 신중한 태도를 유지할 것이다”고 내다봤다. 김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