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위치한 현대차 생산 공장. 2022년 3월부터 가동이 중단됐으며 이후 러시아 현지 기업에 지분을 전부 매도했다. <현대차그룹> |
[비즈니스포스트] 러시아 의회가 해외로 이탈한 외국 투자자에게 자산 반환을 거부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규정을 법제화하는 작업에 돌입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현대차그룹은 2024년 현지 공장을 매각할 당시 이를 2년 안에 다시 살 수 있는 조건을 달았는데 재진출이 막힐 수 있다.
23일 로이터에 따르면 러시아 연방 하원(국가두마) 재산문제위원회는 자산을 남겨두고 해외로 나간 기업의 재진입을 가로막는 법안을 추진하고 있다.
해당 법안은 러시아 기업이 해외 기업과 합의했던 재매수 옵션을 따르지 않아도 된다는 내용을 담은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가 2022년 2월24일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수백 개의 외국 기업이 자산을 매각하거나 포기하는 방식으로 러시아를 벗어났는데 이들이 재진입하는 걸 막는 법안인 것이다.
위원회는 22일 공식 성명을 통해 “이 법안은 러시아 기업이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해외 투자자에게 자산 반환을 거부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라고 입장을 냈다.
전쟁으로 러시아에서 이탈했던 기업 다수는 당시 복귀를 염두에 두고 자산을 다시 매수할 수 있는 옵션을 계약에 반영했다.
로이터는 이러한 기업의 대표적 사례로 현대차와 맥도널드, 헨켈을 거명했다.
현대차그룹은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위치한 공장 지분 전량을 현지 업체인 아트파이낸스에 1만 루블(약 14만 원)에 매각하는 계약을 2024년 1월24일 체결했다.
당시 현대차는 옵션 행사를 통해 2년 내 공장을 재매수할 수 있도록 규정하는 바이백 옵션(콜옵션)을 조건으로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전해진다.
해당 법안이 2022년 2월24일 이후 체결된 거래 가운데 러시아에 제재를 가한 국가 출신 기업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도 언급됐다.
한국 정부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일어난 직후인 2022년 3월1일 러시아 주요 7개 은행과 금융거래를 중단하는 안을 비롯한 금융제재에 동참했었다.
러시아 당국 또한 자국 경제 발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하면 외국인의 자산 매입을 금지할 수 있게 된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신중하게 철수한 기업이 복귀한다면 관심을 가지겠지만 사업을 포기한 기업에게는 특별 조치를 적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