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앞으로 빠른 속도로 금리를 인상하면 한국경제는 외국계 자본의 유출과 가계부채 부실화 등에 시달릴 위험이 높아질 것으로 분석됐다.
김천구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15일 ‘시기별 미국 금리인상의 국내 경제영향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국내의 경제적 리스크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과 결합해 더욱 큰 충격을 줄 수 있다”고 파악했다.
|
|
|
▲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이사회 의장.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14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올리면서 내년에 시장의 예상과 달리 세차례 금리를 인상할 전망을 내놓았는데 이렇게 되면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정국, 가계부채 급증, 기업구조조정 등 불확실성과 맞물려 한국경제가 더욱 큰 피해를 입힐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이 금리인상의 속도를 높일수록 국내 금융시장에서 외국계 투자자금이 빠져나갈 가능성도 더욱 높아진다.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비교적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미국에 투자하기 위해 외국계 투자자들이 한국에서 자금을 회수할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김병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이 내년에 금리를 세차례 올릴지 단정할 수 없지만 경제성장률을 상향한 점 등 전반적인 환경을 감안해야 한다”며 “글로벌 금융시장이 내년 3월에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 전까지 미국의 금리인상 속도에 민감하게 반응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물론 외국계 투자자금이 유출되더라도 국내증시가 상장기업들의 실적호전 등으로 상쇄할 수 있다는 전망도 있지만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정책의 불확실성이 높아져 단기적인 조정이 불가피하다는 시각도 있다.
나중혁 현대증권 연구원은 “이번 연방공개시장위원회 결과를 보면 시장의 기대보다 다소 매파적으로 보일 수 있고 트럼프 정부의 재정정책에 따른 불확실성에 따른 우려도 엿보인다”며 “시장이 단기간 조정될 빌미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이 금리인상에 속도를 내면 한국의 가계부채도 부담이 커진다.
김지섭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금리가 빠르게 상승하는 가운데 예상하지 못한 충격으로 소득의 증가세가 둔화될 경우 가계의 재무건전성이 단기간에 악화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진단했다.
한국은행은 대출금리가 0.25%포인트 오를 경우 대출자들이 연간 이자를 2250억 원 추가로 더 내야 한다고 추정하고 있다. 이 경우 저소득층이 많은 제2금융권 대출자들이 직격탄을 맞게 된다. 제2금융권 대출금액은 9월 기준으로 277조7천억 원에 이른다.
수출도 타격을 받을 수 있다. 한국은 전체 수출금액의 57%를 신흥국가가 차지하고 있는데 미국이 금리를 올릴 경우 달러화 강세의 영향으로 신흥국가가 경기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
한국무역협회는 15일 보고서에서 “달러화 강세로 원자재가격이 떨어지고 외국계 자본이 신흥국가에서 유출돼 중국과 중남미 등의 경제가 타격을 받으면 한국의 수출도 부담이 된다”며 “미국의 금리인상이 신흥국가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철저하게 살펴봐야 한다”고 주문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