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게이트로 동반성장위원회 위상도 바뀔까?
동반성장위는 박근혜 정부에서 전혀 힘이 실리자 않았다. 박근혜 정부가 사실상 시한부 상태에 들어가고 새 동반위원장 선임절차가 진행되면서 위상을 회복할지 주목된다.
9일 동반성장위에 따르면 동반성장위는 임기가 만료된 안충영 위원장의 후임 위원장 인선을 추진하고 있다.
|
|
|
▲ 안충영 동반성장위원회 위원장. |
동반성장위 관계자는 “많이 늦어졌지만 후임 위원장을 찾고 있는 상태”라며 “내규에 따라 후임이 결정될 때까지 안 위원장이 직무를 수행한다”고 설명했다.
안 위원장은 2014년 동반성장위원장에 올라 올해 7월 2년의 임기가 끝났다. 하지만 후임자 소식은 아직까지 들려오지 않는다.
동반성장위원장은 전국경제인연합회와 중소기업중앙회 등 경제단체 추천을 받아 이사회에서 결정한다. 여기에 청와대의 의사도 배제할 수 없다. 국정농단 사태로 위원장 선임을 주도해야할 청와대와 전경련이 마비된 상황이라 인선이 쉽지 않은 것으로 여겨진다.
이번 위원장 인선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는 동반성장위가 중대한 기로에 서 있기 때문이다. 정권이 바뀌면서 동반성장위가 큰 변화를 겪을 수 있다는 예상이 나온다. 동반성장위의 변화방향은 후임 위원장 선임에 따라 크게 좌우될 수 있다.
동반성장위는 2010년 12월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상생하는 경제 생태계를 만들기 위한 목적의 민간 자율협의체로 출범했다.
민간기구이기는 하지만 정운찬 전 총리가 초대 위원장에 취임했고 전체회의를 이명박 전 대통령이 주재하는 등 동반성장위에 업계의 이목이 집중됐다.
정운찬 초대위원장은 중소기업 적합업종 법제화와 동반위의 정부 직속기구 지정 등을 추진하기도 했다. 그러나 2012년 정 전 위원장이 물러난 뒤 유장희 2대 위원장, 안충영 3대 위원장을 거치면서 동반성장위는 점차힘이 빠지는 모양새다.
특히 동반성장위는 박근혜 정부 들어 철저하게 소외당했다. 경제민주화를 대선공약으로 내걸었던 박근혜 대통령이었지만 동반성장위에는 큰 관심이 없었다. 박 대통령은 단 한차례도 동반성장위 전체회의를 개최하지 않았다.
안 위원장 후임의 인선이 지연된 것 역시 이런 기류가 반영된 것이라는 해석이 많다. 안 위원장의 전임자였던 유장희 위원장도 이번 정부 들어 후임을 찾지 못해 임기만료 후 4개월간 더 재직했다.
동반성장위 활동도 위축됐다. 박근혜 정부에서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신규 지정된 업종은 고작 7개에 그쳤고 해마다 발표하는 동반성장지수 역시 무용지물이라는 평가가 많다. 공정위로부터 불공정행위 제재를 받은 기업이 최우수등급을 받는 등 신뢰도가 높지 않다.
동반성장위의 자금줄 역할을 하던 전경련이 해체압력을 받고 있는 것도 동반성장위 불확실성을 키우는 부분이다. 전경련은 동반위 출범 후 5년 동안 해마다 20억 원씩 모두 100억 원을 지원했다.
올해 전경련 지원금이 끊기면서 동반성장위 예산은 지난해 약 50억 원에서 32억 원 수준으로 급격히 줄었다. 이에 예산부족으로 동반위가 존폐 위기에 처하자 전경련은 3년 동안 60억 원을 추가로 지원하기로 했다.
동반성장위 예산 가운데 전경련이 차지하는 비중은 거의 40%에 이른다. 이 때문에 동반성장위가 대기업의 눈치를 봐 제 역할을 못하고 있다는 비판도 많다. 하지만 정작 전경련의 지원이 사라지면 동반성장위가 홀로서기를 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반면 동반성장위 입장에서 위기가 곧 기회일 수도 있다. 이참에 전경련에 대한 재정적인 종속을 끊고 대기업의 입김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과거 제안됐던 정부 직속기구 전환 가능성도 조심스레 고개를 든다.
중소기업계의 한 관계자는 “중소기업 적합업종 지정과 동반성장지수 등 동반성장위가 추진해 온 좋은 제도를 살려야 한다”며 “정부가 바뀌면 동반성장위 역할과 위상이 더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